미세먼지 등 정책 교류 타진…사디크 칸 런던시장 "공기오염은 '숨은 살인자'"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5/03/AKR20190503014300004_01_i.jpg)
(런던=연합뉴스) 방현덕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사디크 칸 영국 런던시장과 미세먼지 등 공기질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함께 모색하기로 했다.
중동·유럽 순방 중인 박 시장은 2일(현지시간) 오후 영국 런던시청에서 칸 시장과 면담하고 공기 오염, 창업 등과 관련한 양 도시의 교류 방안을 논의했다.
박 시장은 "제가 최근에 칸 시장님 관련해 두 개의 뉴스를 감동적으로 봤다"며 "하나는 런던 전체를 국립공원으로 만들겠다는 것이고, 하나는 '초저배출구역'(ULEZ·ultra-low emission zone)을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도 나무를 3천만 그루 심고 커다란 식물원을 만들고 있지만, 런던 전체를 공원으로 만드는 것은 어마어마한 계획"이라며 "서울도 7월부터 도심 한가운데를 노후경유차 등이 못 다니게 하는 정책을 한다. 앞으로 실무자끼리 자세한 정보를 교류하면 굉장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칸 시장은 "미세먼지 등 공기질 문제는 보건과도 연결돼 있어 우리는 '(숨은) 살인자'라고 부른다"며 "서울, 파리와 같이 차량 등급(에 따른 통행 제한)제를 도입한 것도 같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런던 면적의 50%를 녹지 구간으로 바꾸기 위해 힘쓰고 있다"며 "하지만 어려움이 존재한다. 개발업자들이 콘크리트(건물)를 세우려 하기 때문"이라고 정책 고충을 털어놓기도 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5/03/AKR20190503014300004_04_i.jpg)
재난 수준의 스모그를 겪어온 런던은 이미 2008년 시내에 노후경유차 운행제한구역(LEZ·low emission zone)을 설정하고 통행료와 과태료를 물려 차량 운행을 억제하고 있다.
특히 칸 시장은 취임 후인 2017년 런던 중심부 혼잡구역에 별도 통행료를 신설하고, 지난달 8일에는 혼잡구역을 초저배출구역으로 재지정해 요금 부과 대상· 적용 시간 등을 과감히 늘렸다. 그는 2050년까지 런던 면적의 50%를 자연 공간으로 조성해 '국립공원 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도 발표한 바 있다.
서울시 역시 미세먼지 대책의 하나로 올해 7월부터 한양도성 내 면적 16.7㎢를 '녹색교통지역'으로 지정하고 5등급 차량 운행을 제한한다. 계도기간이 끝나는 12월부터는 위반 차량에 과태료 25만원이 부과된다.
박 시장과 칸 시장, 안 이달고 파리 시장 등 3명은 2017년 3월 대도시협력체인 'C40 기후리더십그룹' 주관으로 파리시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자동차 배출가스에 국제 표준 등급을 매겨 공개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5/03/AKR20190503014300004_07_i.jpg)
칸 시장은 파키스탄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 첫 무슬림계 런던시장이다. 인권변호사로 일하다 노동당 하원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2016년 5월 시장에 취임했다.
박 시장은 이날 칸 시장을 서울시에 정식 초청했다. 칸 시장은 10월 열리는 국제 대기질 포럼에 박 시장이 발표자로 나서달라고 언급했다.
칸 시장 면담에 앞서 박 시장은 마크 필드 아시아-태평양 담당 영국 외무상을 만나 양국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저녁에는 박은하 영국대사 관저에서 현지 경제인과 만찬을 하며 서울의 투자 매력을 홍보했다.
이날 아부다비를 떠나 런던에 도착한 박 시장은 4일까지 머물며 금융감독원과 함께 영국 금융사 등을 대상으로 '서울 금융투자 설명회'를 연다. 영국의 벤처창업 보육시설을 탐방하고 공기질 전문가를 찾아가 미세먼지 대응 방안도 물을 예정이다.
bangh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