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트랙發 새판짜기에 각당 셈법 '복잡'…바른미래 분화가 核
민주, 총선 앞두고 '원팀' 전략에 무게…한국 '보수빅텐트' 치고 러브콜
바른미래 核분열 따른 '이합집산' 최대변수…평화당과의 연대하는 '제3지대론' 촉각
(서울=연합뉴스) 고상민 한지훈 기자 = 자유한국당을 뺀 여야 4당의 선거제·개혁입법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합의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펼쳐질 정계개편의 불쏘시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패스트트랙 후폭풍으로 일촉즉발의 위기에 놓인 바른미래당이 정계개편의 핵(核)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재 바른미래당은 바른정당 출신의 유승민계와 국민의당 출신 안철수계, 그리고 민주평화당과의 당 대 당 통합을 요구하는 국민의당 출신 일부 호남 중진의원 등 3개 계파로 나뉜 상태다.
그동안 정치권에서는 바른정당계와 국민의당계는 이념과 정책 노선이 다른 데다 선거제 개혁에 대한 이해관계도 첨예하게 엇갈려 총선을 앞두고 헤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이야기가 적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총선이 불과 1년 앞으로 다가온 만큼 두 세력이 결국 각각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개혁 보수를 표방하는 바른정당계와 합리적 중도를 표방하는 국민의당계가 염두에 두고 있는 통합 대상은 각각 한국당, 더불어민주당, 평화당 등 제각각인 만큼 뿔뿔이 '헤쳐 모이는' 시나리오도 제기된다.
바른미래당·평화당 의원들이 연대 혹은 통합하는 '제3지대론'도 대표적인 시나리오 중 하나다.
다만 정계개편이 현실화하면 양 세력이 내부 권력투쟁을 이어가면서도 지금의 틀을 유지하는 어정쩡한 상황이 당분간 이어지리라는 관측도 있다.
특정 당에 개별적으로 '흡수'되는 것보다는 '당 대 당 통합' 방식이 상대적으로 득이 클 것이라는 계산 때문이다.
실제로 유승민계와 안철수계는 당장 헤쳐 모여 식 집단행동을 하기보다는 '통합'이라는 창당 정신을 되살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아울러 현 손학규 대표의 리더십으로는 내년 총선을 치를 수 없다는 데 공감하고 향후 지도부 체제 개편에 대한 논의도 물밑에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정당계 한 의원은 2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계개편이라는 것은 그 주체들의 에너지가 가득 차 있을 때 본격적으로 진행된다"며 "당내 갈등이 분명한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 시점에서 정계개편을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강조했다.
이렇듯 정계개편 논의는 일단 바른미래당을 중심으로 한 '중간지대'를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큰 만큼 제1·2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의 역할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일단 민주당은 지난 1월 무소속 손금주·이용호 의원의 합류를 고심 끝에 불허한 데서도 알 수 있듯 외부 인사를 받아들이는 데 대해 조심스러워서 하는 편이다.
현재 128석에서 150석 이상으로 원내 의석을 대폭 늘리지 않는 한 큰 의미가 없는 점, 열성 지지층이 다른 정당 의원들의 영입에 강하게 반대하는 점을 고려한 스탠스로 분석된다.
'전략통'을 자처하는 민주당 내 일부 의원들이 적극적인 외연 확대를 통한 총선 승리를 제안하기도 하지만, 지도부로부터 폭넓은 공감을 얻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원 빼오기'라는 역풍도 고려해야 할 변수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정계개편의 소용돌이에서 조금 비켜서서 내년 총선 압승을 위한 '원팀' 전략에 더 공을 들일 가능성이 크다. 자력으로 150석 이상의 과반 의석을 만들어내겠다는 것이다.
제1야당인 한국당은 총선을 앞두고 보수대통합의 구심점이 돼 정계개편 과정에서 떨어져 나올 보수세력을 적극적으로 끌어안겠다는 생각이다.
이른바 '보수 빅텐트'를 마련, 내년 총선에서 1당이 돼 정부·여당을 강력히 견제하겠다는 것이다.
통합 대상으로 거론되는 바른미래당 내 바른정당계 인사들에게 아직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는 않지만, 물밑 접촉은 유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당이 여야 4당의 패스트트랙 합의에 반발, 철야 농성 등 강경 대응에 나서는 것도 정계개편을 앞두고 제1당의 존재감을 더욱 확실히 하려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평화당 역시 정계개편 시나리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평화당이 지난 4·3 보궐선거 이후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재구성 협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인 것도 정계개편을 염두에 둔 행보로 해석됐다.
평화당은 호남 지역을 핵심 지지기반으로 두고 있지만, 최근 호남에서 바른미래당(4%)보다 낮고 자유한국당과 같은 3%의 정당 지지율을 기록(한국갤럽, 16∼18일 전국 성인남녀 1천1명을 대상으로 실시. 신뢰도 95%, 표본오차 ±3.1%포인트.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는 등 고전하고 있다.
평화당은 내년 총선에서 호남에서조차 당선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을 타개할 유일한 방법은 광범위한 정계개편을 통한 쇄신으로 보고 있다.
평화당 일부 의원들이 바른미래당 소속 호남 지역 중진 의원들과 토론회를 하거나 공개적으로 식사를 하며 '제3지대' 구축을 모색하는 것은 그런 맥락이다.
선거제도 개편에 따른 의석 확대를 기대하는 정의당 역시 야권발 정계개편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의당은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을 중심으로 제3지대를 형성해 지지자를 흡수할 경우 진보진영의 입지가 약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민주당 지지율이 내리면 정의당 지지율이 오르던 '풍선효과'가 사라지고, 민주당에서 이탈하는 지지자들이 새로운 중도 정당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정의당이 원내 진보정당으로서 독자 영역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정계개편의 직접적인 영향권에는 들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goriou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