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고판화박물관, 28일부터 '동아시아 나한'展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22/AKR20190422113700005_02_i.jpg)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일본 교토 지온인(知恩院)이 소장한 고려시대 불화 '오백나한도'(五百羅漢圖)를 모본으로 삼아 19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 목판화가 발견됐다.
원주 치악산 명주사 고판화박물관은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오는 28일 개막하는 특별전 '판화로 보는 동아시아 나한의 세계'에서 일본 에도시대(1603∼1867) 후기에 고려 오백나한도를 본떠 제작한 판화를 공개한다.
한선학 고판화박물관장은 22일 종로구 한 식당에서 간담회를 열어 "3년 전 경매에서 세 폭으로 나뉜 판화를 구매한 뒤 이번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표구를 했더니 지온인 오백나한도와 도상이 매우 비슷했다"며 "고려불화를 충실히 따라 표현했을 뿐 아니라 퇴색된 부분을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초판 인출본"이라고 설명했다.
한 관장은 이어 "한국과 일본 불교미술 전문가들에게 문의했으나, 동일한 판화를 보지 못했다는 답변을 들었다"며 "오백나한과 산수를 함께 그린 고려불화는 매우 드물다"고 강조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22/AKR20190422113700005_03_i.jpg)
국내에서도 전시된 적이 있는 지온인 소장 고려 오백나한도는 가로 121.4㎝·세로 188㎝다. 판화는 이와 거의 같은 가로 120.5㎝·세로 186.5㎝다. 세부적 묘사에서 일부 차이가 나기는 하지만, 그림 구도와 배치는 거의 동일하다.
한 관장은 "고려불화가 세계적인 미술품이라는 사실과 흔하다고 생각하는 판화가 실제로는 희귀하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자료"라면서 "동아시아 판화사에 한 획을 긋는 의미 있는 유물"이라고 평가했다.
고판화박물관이 주목한 '나한'은 올봄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중앙박물관도 전시를 마련한 주제다. 나한은 '아라한'(阿羅漢)의 준말로,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은 불교 성자를 뜻한다. 중국 당나라에서 십육나한 신앙이 일어난 뒤 십팔나한, 오백나한으로 발전했다.
강원도와 강원문화재단이 후원하는 이번 전시는 회화와 조각 소재로 알려진 나한이 판화에서는 어떻게 다뤄졌는지 소개하고, 나한을 입체적으로 살펴보자는 취지에서 기획했다. 한국, 중국, 일본, 티베트 자료 70여 점을 선보인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22/AKR20190422113700005_05_i.jpg)
국내 나한 판화는 작품이 거의 남지 않아 불교서적 속에 있는 변상도(變相圖, 불교 경전 내용을 소재로 한 그림)를 주로 전시한다.
한 관장은 "조선시대에 사찰은 뛰어난 불상과 불화를 많이 제작했지만, 일반 가정은 대부분 불교 미술품을 소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교 대중예술이라고 할 수 있는 판화가 발전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중국 작품으로는 당말 오대 승려인 관휴(貫休·832∼912)가 그린 십육나한도를 본보기로 해 청나라 건륭제(재위 1736∼1796) 때 새긴 탑비를 인출한 판화가 나온다.
아울러 티베트 목각인쇄 발원지로 알려진 더거인징위안(德格印經院)이 찍은 십육나한 판화도 관람객과 만난다.
전시는 6월 30일까지. 템플스테이를 비롯해 다양한 문화체험 행사도 운영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22/AKR20190422113700005_06_i.jpg)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