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가성비' 바람에 한정식·뷔페·패밀리 레스토랑 휘청
간편식 친숙한 젊은 세대 발길 줄어…인사동 한정식 올해만 2곳 폐업
'빕스'·'TGI 프라이데이스' 등 유명 패밀리 레스토랑 매장도 급감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지난 수십 년 간 외식 시장을 이끌던 한정식·뷔페·패밀리 레스토랑이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따지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밀려 설 곳을 잃고 있다.
21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파'가 몰아치는 업종은 무엇보다 한정식이다.
경기 불황으로 소비자 지갑이 얇아진 데다가,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 이후 비즈니스 미팅 수요가 줄면서 직격탄을 맞았다고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게다가 식품업계에서 업체마다 '외식 수준의 내식'을 표방하며 높은 품질의 가정간편식(HMR)을 내놓는 통에 1인당 수만원을 들여서까지 한정식 식사를 찾을 이유가 사라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한정식의 메카'라 불리는 서울 종로구 인사동의 업황을 살펴보면 이 같은 한기가 고스란히 느껴진다.
종로구에 따르면 인사동의 한정식 식당 개수는 지난해 47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3년 전인 2015년 32곳보다는 15곳 늘어난 것이지만, 올해 들어서는 감소세가 두드러진다는 게 구 관계자의 설명이다.
종로구 관계자는 "올해 들어서 공식적으로는 2곳이 폐업했다"며 "폐업 신고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만큼, 실제 문을 닫은 업소 수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지역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이를 두고 "김영란법 영향을 많이 이야기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트렌드 변화를 주 원인으로 본다"면서 "인근 익선동 등지가 '핫플레이스'로 떠올라 세련된 식당이 많이 생기지 않았느냐. 한정식 집은 이전처럼 잘 찾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상당수 젊은 소비자들이 좌식(座式) 매장의 불편함과 높은 가격대 등을 이유로 노포(老鋪) 한정식에 발길을 줄인다는 이야기다.
시야를 넓혀 한정식이 포함된 한식 전체로 봐도 불황이 뚜렷이 감지된다.
한국외식업중앙회에 따르면 '일반 한식 음식점'으로 등록한 전국 회원 업소 수는 2017년 8만9천987곳에서 지난해 8만7천280곳, 올해 8만6천243곳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다.
이 같은 '한파'는 개인 한정식 만이 아니라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가 운영하는 패밀리 레스토랑과 뷔페 업계도 고스란히 겪고 있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국내 간판급 패밀리 레스토랑 '빕스'(VIPS) 매장 수는 2016년 말 86곳에서 2017년 말 81곳으로 내려앉더니 지난 연말에는 61곳으로 급감했다.불과 2년 만에 약 30%가 줄어든 것이다.
CJ푸드빌은 이를 두고 "다변화된 외식 환경 속에서 새로운 콘셉트의 특화 매장을 선보이며 지속적인 혁신과 변화를 꾀하고 있다"며 "지역별 상권과 고객층을 50여 가지 항목의 데이터로 치밀하게 분석해 상권에 맞는 최적의 특화 매장을 지난해 6월부터 선보여 왔다"고 설명했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수익이 떨어지거나 해당 상권과 어울리지 않는 매장은 과감히 정리해 효율성을 높여왔다는 이야기가 된다.
빕스는 실제로 지난해 6월 제일제당센터점을 샐러드 메뉴를 강조한 '프레시 업 매장'으로 개편했고, 그 결과 전년 동기보다 매출이 최대 30% 증가하는 효과를 거뒀다.
롯데GRS가 운영하는 또 다른 유명 패밀리 레스토랑 'TGI 프라이데이스'도 '감량' 중이다. 'TGI 프라이데이'의 매장 수는 2016년 31곳에서 2017·2018년 29곳, 올해 27곳으로 줄어들었다.
롯데GRS는 "가성비를 높여 저렴한 가격대의 메뉴를 풍부한 양으로 제공해 고객의 가격 부담을 낮추려 노력 중"이라며 "가성비를 높인 '어랏 메뉴'는 전체 매출의 20%가량 차지하는 등 인기 메뉴로 떠올랐다"고 소개했다.
과거 배불리 먹을 수 있다는 덕에 인기를 끈 '계절밥상'·'올반' 등 한식 뷔페 역시 매장 수를 줄이고 고급화하는 전략으로 전환하는 등 경쟁력를 높이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때 패밀리 레스토랑의 대안으로 주목받으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던 한식 뷔페가 정체기를 맞은 것은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서 신규 출점이 제한된 데다, 경기 불황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됐고, 1인 가구가 늘어나 간정간편식 구매가 늘어난 점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