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2년간 태양·별 관측·우주 핵심기술 검증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작년 12월 4일 미국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발사된 '차세대소형위성 1호'가 성능검증을 마치고 본격 임무 수행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위성이 고도 575㎞ 상공에서 초기운영을 마치고, 과학 관측과 우주핵심 기술 검증 등을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2/04/PYH2018120400200007500_P2.jpg)
주관개발기관인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는 발사 뒤 약 3개월간 위성의 상태와 자세 제어 및 기동 성능, 태양전지판 전개, 태양폭풍 방사선·플라스마 측정 등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했다. 또 위성에 탑재된 3차원 적층형 대용량 메모리 등 7개 핵심기술의 기능도 점검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15/AKR20190415165700017_01_i.jpg)
차세대소형위성 1호는 초기운영 기간 지구 자기장 방향에 따라 입사하는 방사선 입자를 극지방에서 관측했고, 저위도에서는 야간이온층 특성을 포착하기도 했다. 광시야 적외선 영상분광 우주망원경(NISS)으로 사자자리 나선은하(M95)의 파장대별 밝기도 측정해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15/AKR20190415165700017_02_i.jpg)
100㎏급의 이 위성은 앞으로 약 2년간 태양 폭발에 따른 우주방사선과 플라스마 상태를 측정하고 은하 속 별의 적외선 분광 관측 등 우주과학 연구에 활용될 영상자료를 국내 관련 기관에 제공하게 된다.
최원호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위성 핵심기술 개발 및 우주과학 연구 활성화를 위해 후속 소형위성을 개발하고 있다"며 "위성 핵심기술의 자립도를 높이고 우주기술기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