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의 '제주 4·3' 개입 진상규명 필요하다"
제주도의회 정책연구실 소식지 통해 주장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한국 현대사의 비극인 '제주 4·3' 당시 미군 측의 개입에 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도의회 정책연구실은 9일 '4·3 사건 미군이 얼마나 개입했나?'라는 정보소식지 정책차롱을 발간했다.
정책연구실은 이 소식지에서 '미군이 제주도를 거대한 킬링필드(killing field)로 바꾸어 놓는데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고 언급한 미국의 사회학자 조지 카치아피카의 말을 인용해 이같이 주장했다.
정책연구실은 4·3 당시 제주도에서 미군 개입 사례의 유형으로 주한 미군 사령관과 고문관들이 한국경찰과 경비대(대한민국육군 전신)에게 직접 명령을 하달했고, 제주의 미군 고문단들이 실제 공중과 육상작전을 관리, 감독한 점을 들었다.
정책연구실은 또 제주도에 주둔한 미군 부대가 우리 측 진압군에게 군수지원 및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강경 진압을 지휘했다고 분석했다.
정책연구실은 4·3 당시 제주도 주둔 병력에 관한 논란이 있으나 프랑스 파리 7 대학의 버틀랜드 로에너 교수의 논문과 당시 미군 측의 비밀문건, '주한미군사' 사료(HUSAFIK), 미군 증언 등을 토대로 1947년과 1948년에 제주도에는 미군이 최소 100명(중대 규모)에서 최대 1천명(연대 규모)까지 주둔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추정했다.
연구실은 한국전 참전 미군인 조셉 그로스만 씨가 "1947년 봄에 6주 동안 20보병연대 제2대대의 500∼1천명의 미군 병력이 제주도로 파견됐다"고 증언했으며, 당시 미군의 '화재 등 사건 보고서'(Reports of fires ana other accidents) 등을 보면 미군정 장교의 부양가족 집이 화재로 파손되거나 군부대 내 매점(PX) 건물 파괴사건 등이 보고됐다고 밝혔다.
정책연구실은 그런데도 미군의 개입 형태와 정도에 대해서는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고 있어 당시 제주도에 주둔했던 미군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소상히 밝힐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까지 밝혀진 미군의 지휘 책임과 함께 특별히 미군 병력이 어느 정도 규모로 제주도에 주둔했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미국의 개입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또 다른 척도가 되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연구실은 주장했다.
정민구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파비앙 살비올리 유엔(UN) 특별보고관이 제주 4·3사건 해결을 위한 지원을 약속한 만큼 오는 6월 유엔에서 열리는 'UN 4·3 심포지엄'을 계기로 향후 미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에 있는 다양한 역사적 사료들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 제주 4·3 당시 미군의 개입 정도를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kh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