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결실 부분 찾아 접합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01/AKR20190401075500005_04_i.jpg)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신라 적석목곽분(積石木槨墳·돌무지덧널무덤)인 경주 황남대총 남분에서 1973년 나온 국보 유리잔이 발굴 46년 만에 온전한 모습을 찾았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황남대총 유리잔을 지난해 9월 27일부터 약 5개월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결실 부분 조각을 찾아내 복원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달 29일 박물관 신라실에서 공개된 이 유리잔은 국보 제193호로 지정된 유리병 1점과 유리잔 3점 중 하나로, 발굴조사 직후 파손된 조각을 접합할 때 사용한 재료가 약화해 보존처리를 시작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01/AKR20190401075500005_05_i.jpg)
박물관은 "보존처리 이후 몸체는 조금 넓어지고 높이는 다소 낮아졌다"면서 "이번에는 물리적으로 안정적이고 누렇게 변색하지 않는 재료로 접합과 복원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박물관은 보존처리를 통해 유리잔 제작 방법도 확인했다. 잔 위쪽인 구연부는 안으로 동그랗게 말아 공간을 조성하고, 그 위에 감색 띠를 덧댔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바닥 부분은 유리 띠를 부착해 굽을 만들고, 유리액을 흘려 굴곡을 만든 뒤 마름모형 장식을 추가했다. 기벽 두께는 0.7∼4.5㎜이지만, 몸체는 대부분 1∼1.5㎜로 조사됐다.
박물관은 제작 기법을 봤을 때 이 유리잔이 초기 비잔틴 시기 지중해 동부 팔레스타인이나 시리아에서 만든 뒤 실크로드로 수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01/AKR20190401075500005_06_i.jpg)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