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의 자산 매각·차입 상환계획 요구에 '고심'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박삼구 회장의 경영권 포기 카드로 경영 위기 돌파를 시도하는 아시아나항공[020560]이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한 자구안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재무·경영 담당 임직원들은 주말에도 출근해 산업은행 등 채권단을 만족시킬만한 자구계획을 짜내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31일 "이번 주 만료되는 '재무구조 개선 양해각서'(MOU) 연장을 위해 관련 부서 임직원이 주말에도 본사에 모여 머리를 맞대고 있다"며 "채권단을 설득할 만한 자구안을 마련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31/AKR20190331035400003_01_i.jpg)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4월 6일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산은 등 채권은행단과 MOU를 맺은 바 있다.
MOU 주요 내용은 비핵심자산 매각과 전환사채·영구채 발행 등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CJ대한통운[000120] 지분 매각(940억원), 전환사채 발행(1천억원), 그룹 광화문 사옥 매각(4천180억원) 등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했고, 아시아나IDT·에어부산[298690] 상장, 항공기 선급금 담보금융을 통한 차입 등도 진행했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여전히 작년 말 기준 아시아나의 총 차입금은 3조4천400억원 수준이다. 이 가운데 1년 안에 갚아야 할 단기차입금만 1조3천200억원에 달한다.
차입금 구성은 금융리스 부채가 41%, 자산담보부증권(ABS)이 36%이며 금융기관 차입금이 14%가량이다.
항공업 호조로 영업이익을 내며 유동성 위기를 막아오던 아시아나지만, 이달 22일 감사의견 '한정'을 받은 감사보고서를 내놓으며 시장의 신뢰를 급격히 상실했다.
감사보고서 문제로 아시아나는 모회사인 금호산업까지 함께 주식거래가 이틀간 정지되고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는 등 시장을 혼란에 빠뜨렸다.
이에 박삼구 회장이 지난 28일 전격적으로 그룹 내 모든 직책을 내려놓고 경영에서 사퇴하는 '강수'를 뒀지만, 회사가 처한 상황이 근본적으로 변한 것은 아니다.
아시아나는 당장 이번 주 채권단과 지난해 1년 기한으로 맺은 MOU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일단 채권단이 MOU 연장 방침을 밝혀 급한 불은 껐지만, MOU에 담길 내용을 두고는 고민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31/AKR20190331035400003_02_i.jpg)
채권단은 그룹 차원에서 우량자산 매각과 시장차입 상환계획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량자산 매각 대상으로는 금호리조트,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개발, 아시아나에어포트, 아시아나IDT[267850] 등의 지분과 골프장, 아시아나타운 등 부동산이 거론된다.
그룹 경영을 책임진 박 회장이 일정 부분 사재를 출연하는 것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나가 스스로 자구계획을 마련하는 형식이지만, 사실상 채권단이 큰 그림뿐 아니라 구체적인 계획까지 모두 그리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채권단이 MOU 연장을 거부하면 아시아나는 자율협약·워크아웃 등 공동관리 체제에 처하는 상황을 맞을 수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 입장에서도 아시아나가 공동관리 체제로 들어가는 것은 부담스럽다. 국내 2위 항공사의 지위에 따른 수송 차질과 혼란, 영업 타격, 산은을 비롯한 채권금융기관의 차입 계획 차질 등 부담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아시아나 관계자는 "채권단과 물밑 접촉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만한 수준의 자구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채권단과 자구안이 합의되면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