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금리상승에 순이익 19%↓…외화자산 중 현금성자산 비중 10년만에 최고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지난해 국내외 금리상승 영향 등으로 한국은행의 순이익이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외화자산의 70%는 미 달러화로 구성됐고, 현금성 자산 비중이 10년 만에 가장 높았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9/03/11/51/PCM20190311000151990_P2.jpg)
한은이 29일 발간한 '2018 연차보고서'를 보면 작년 순이익이 3조2천137억원으로 전년보다 7천503억원 줄었다.
한은은 주요 배경으로 국제금리 상승에 따른 외화채권 가격 하락과 기준금리 인상 효과에 따른 통화관리 비용 증가를 들었다.
영업수익 등 총수익은 13조8천386억원으로 1조4천506억원 늘었는데 총비용이 9조5천434억원으로 2조4천635억원 증가했다.
영업비용 중 유가증권매매손이 3조1천459억원으로 1조4천609억원 늘어난 여파가 컸다.
통화안정증권이자는 3조581억원으로 금리상승 등 영향으로 4천790억원 늘었다.
세전이익은 4조2천952억원이고 여기서 법인세 등으로 1조815억원이 빠졌다.
당기순이익 중 9천641억원은 순이익의 30%를 법정적립금으로 적립토록 하는 한은법에 따라 적립했고 나머지 2조2천142억원은 정부에 세입으로 납입했다.
한은의 적립금 잔액은 13조2천115억원이다.
한은은 전년엔 순이익이 3조9천640억원으로 16년 만에 최대였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75900002_03_i.jpg)
한은의 자산은 495조3천46억원으로 24조7천199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으로 유가증권이 381조2천734억원으로 40조4천15억원 늘어난 영향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지난해 한은의 외화자산에선 미 달러화와 현금성 자산 비중이 높아졌다.
한은은 미 달러화 강세 예상으로 달러화 표시 자산 비중을 확대한 결과 69.8%에 달했다고 말했다.
현금성자산은 5.3%로 비중이 2.1%포인트 상승하며 2008년(5.8%)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응해 안전성과 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결과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안전성이 높고 시장 규모가 큰 정부채 비중을 확대하고 비정부채와 주식 비중을 축소했다는 것이다.
한국투자공사(KIC)나 자산운용사에 위탁 운용하는 자산 비중이 18.3%로 4년 만에 하락한 것도 같은 배경에서다. 2017년 위탁자산 비중은 19.1%에 달했다.
위탁자산에는 주식이 포함돼있고 채권도 위험성이 더 높은 자산 위주로 편입된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상품별 비중은 정부채 42.9%, 정부기관채 18.0%, 회사채 13.7%, 자산유동화채 12.8%, 주식 7.6% 등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75900002_02_i.jpg)
작년 말 화폐발행 잔액은 115조3천895억원으로 6.9% 증가했다.
5만원은 94조7천268억원으로 9.4% 늘었지만 1만원권은 15조1천472억원으로 4.5% 줄었다.
주화는 2조5천60억원으로 0.7% 증가했다.
지난해 한국조폐공사가 제조해 납품한 화폐는 7억9천621만장으로 28.0% 줄었다.
은행권은 5만원권을 중심으로 7.4% 늘었지만 주화는 70.8% 감소했다.
한은의 작년 직원 수는 2천433명이고 신규 채용규모는 종합기획직원 59명을 포함해 129명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75900002_01_i.jpg)
mercie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