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양 참사 피해자 설문·심층조사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65700004_06_i.jpg)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2017년 11월 15일 경북 포항 지진(규모 5.4)과 그해 12월 21일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의 피해자 중 20∼30%는 극단적 선택을 고려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스스로 삶을 포기하려고 시도한 피해자들도 있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65700004_01_i.jpg)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지원소위원회는 국가미래발전정책연구원과 함께 29일 오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국내 중대재난 피해지원 실태조사 결과 발표회'를 열었다.
국가미래발전정책연구원은 지난해 10월 15일∼12월 20일 포항지진 피해자 40명과 제천화재 피해자 30명을 대상으로 경제·신체적 변화와 심리적 피해, 구호 지원에 관해 설문·심층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대상자 중 포항지진 피해자 82.5%는 지진 이후 불안 증세를 새롭게 겪었다. 불면증과 우울 증상을 겪는다는 이들도 각각 55%와 42.5% 수준이었다.
제천화재 피해자의 경우 사고를 겪으면서 73%가 불면증을 새로 앓았다. 이들은 우울(53.3%)과 불안(50%)도 호소했다.
정신·심리적으로 피폐해지면서 포항지진 피해자 47.5%, 제천화재 피해자 31%가 수면제를 복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65700004_04_i.jpg)
포항지진 이후 슬픔이나 절망감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겪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60%에 달했다. 자살 생각을 해봤다는 응답은 16.1%, 실제 자살을 시도해봤다는 응답은 10%로 나타났다.
제천화재 피해자 중 76.7%가 일상생활에 지장을 느낄 정도로 슬픔이나 절망감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에 관한 응답률은 각각 36.7%, 6.7%였다.
이들 사고의 피해자들은 정신은 물론 신체적으로도 건강이 악화했다.
포항지진 이후 건강상태 변화를 묻는 말에 '나빠졌다'는 응답이 42.5%, '매우 나빠졌다'는 응답이 37.5%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제천화재 피해자의 경우 '나빠졌다'가 43.3%, '매우 나빠졌다'가 13.3%였다.
두 사고 피해자 모두 '좋아졌다'나 '매우 좋아졌다'는 응답은 없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65700004_03_i.jpg)
포항지진 피해자의 67.5%, 제천화재 피해자의 83.3%가 참사 이후 새로운 질환을 앓고 있다고 답했다. 새 질환의 종류(중복 포함)는 소화기계(위염·위궤양·소화불량), 신경계(만성두통) 등 10여종에 이른다.
재난 이후 가장 많이 앓는 질환은 만성두통(포항지진 피해자 32.5%·제천화재 피해자 33.3%), 소화기계 질환(포항지진 피해자 20%·제천화재 피해자 33.3%)인 것으로 집계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65700004_02_i.jpg)
생활 기반이 무너지면서 가계의 경제 상황도 나빠졌다.
가구 총자산의 경우 포항지진 피해자는 34.1%, 제천화재 피해자는 39.2%가 줄었다고 답했다. 반면 가구 지출액은 포항지진 피해자 28.1%, 제천화재 피해자 37.9%가 늘었다.
이들은 필요한 지원인데도 국가로부터 제대로 된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호소했다.
포항지진 피해자는 생활안정지원(54.3%), 조세·보험료·통신비지원(42.5%), 일상생활지원(41.7%) 순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천화재 피해자의 필요한 지원으로 구호 및 복구 정보 제공(33.3%), 생활안정지원(24.1%), 일상생활지원(24.1%)으로 답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9/AKR20190329065700004_05_i.jpg)
포항지진 피해자는 국가의 진상 조사 노력에 대해 80.5%가 부정적 의견을 냈다. 제천화재 피해자들은 '피해 주민의 욕구를 반영한 지원 상황'에 대해 비슷한 수준으로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황전원 특조위 지원소위원장은 "재난 피해자들이 경제·정신·신체 등 복합적인 고통을 당하는 것으로 드러난 만큼 피해지원에 대한 종합적이고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조위는 ▲ 독립적 재난 원인 및 대응과정 조사단의 상설기구화 ▲ 피해지원 재정 확충을 위한 (가칭)국민재난복구기금 신설 ▲ 재난지원의 공정성과 형평성 확보 ▲ 의료 및 심리지원의 한시성 문제 개선 ▲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우선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