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쑥쑥 크는 게임 한류…작년 지재권 무역수지 적자, 역대 최소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쑥쑥 크는 게임 한류…작년 지재권 무역수지 적자, 역대 최소
대기업 흑자 사상 최대…네이버·넥슨 등 게임업체 대기업 전환 영향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게임산업이 새로운 수출 효자로 성장하며 지난해 한국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 적자가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8년 중 지식재산권 무역수지(잠정)'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는 7억2천만달러 적자였다.
적자 규모는 전년(-16억9천만달러)에 비해 절반 이상 줄었다.
지재권 수지는 꾸준히 적자였는데, 지난해 적자는 2010년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역대 최소 기록이다.
한은 관계자는 "국내 게임회사를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재권 수출이 135억2천만달러로 전년(122억7천만달러)보다 12억5천만달러 증가했고 수입도 142억4천만달러로 1년 전(139억6천만달러)보다 2억8천만달러 늘었다.
지재권 무역수지를 유형별로 보면 산업재산권이 21억5천만달러에서 16억달러로 적자 규모가 축소됐다.
산업재산권 중에서는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이 7억9천만달러 적자에서 2억3천만달러 흑자로 전환했다. 상표 및 프랜차이즈권이 흑자를 낸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국내 게임회사 등의 프랜차이즈권 수출이 늘면서다. 국내 대기업의 경우 상표권 수출이 늘고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의 상표권 수입은 줄어든 영향도 겹쳤다.
저작권은 5억9천만달러에서 14억달러로 흑자가 확대했다.
그중 문화예술저작권은 4억1천만달러 적자에서 3억5천만달러 적자로 축소했다.
연구개발 및 소프트웨어(SW) 저작권은 17억5천만달러로 역대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국내 게임회사의 음악·영상 수출, 컴퓨터 프로그램 수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국내 대기업 흑자 규모는 3억3천만달러에서 15억3천만달러로 5배 가까이 커졌다. 흑자 규모는 역대 최대였다.
게임업체들이 대기업에 편입된 영향이 컸다. 네이버·넥슨·네오플은 2017년 9월, 넷마블[251270]은 2018년 5월부터 대기업으로 분류됐다.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경우에도 13억2천만달러 흑자에서 15억5천만달러 흑자로 확대했다.
반면 외국인투자 중소·중견기업은 적자 규모가 30억7천만달러에서 34억1천만달러로 커졌다. 외국계 정보기술(IT) 기업의 컴퓨터 프로그램 수출이 줄어든 영향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1억9천만달러에서 12억1천만달러로 적자 규모가 확대했으나 서비스업은 5억4천만달러 적자에서 5억3천만달러 흑자로 전환했다.
제조업에선 화학제품·의약품 적자 규모가 4억6천만달러로 확대한 영향이 컸다.
서비스업에선 국내 대기업,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상표권·프랜차이즈권 수출이 늘어 도소매업 적자가 6억7천만달러에서 3억달러로 반 토막이 됐다. 국내 게임회사의 수출 증가로 출판·영상·방송 통신·정보서비스업 흑자 규모도 4억6천만달러에서 11억8천만달러로 뛰었다.
거래 상대별로 보면 대(對) 중국 흑자 규모가 21억7천만달러에서 30억2천만달러로 뛰었다. 국내 게임회사 수출이 중국으로 쏠린 영향이다.
베트남을 상대로 한 흑자도 24억1천만달러에서 24억6천만달러로 확대했다. 국내 기업들의 베트남 현지법인 설립이 늘어나며 특허권 사용료 명목으로 국내 본사가 받은 돈이 늘었다.
반면 미국을 상대로 한 적자 규모는 46억6천만달러에서 46억7천만달러로 소폭 확대했다.
한은 관계자는 "게임업체들이 굉장히 약진하고 있고 기업들의 기술개발도 점점 좋아지고 있어 지재권 수지는 개선 추세"라면서도 "흑자 전환 시점을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