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3

산불 취약 지역 한눈에 확인한다…전국산불취약지도 제작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산불 취약 지역 한눈에 확인한다…전국산불취약지도 제작
국립산림과학원, 27년간 산불 데이터 분석해 작성…4등급으로 구분



(대전=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산불이 자주 나고 이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공간상으로 분석해 지도로 만든 '전국산불취약지도'가 제작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991년부터 2017년까지 27년간 발생한 1만1천643건의 산불 데이터를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종합 분석해 향후 산불의 발생, 확산, 피해 위험이 높은 지역을 선별한 전국 지자체별 산불 취약지도를 작성했다.
산불취약지역의 근거가 되는 산불 취약위험지수는 산불 발생밀도, 침엽수림과의 거리, 인구밀도, 건물밀도, 재해 약자시설 분포, 국가 보호시설 분포 등을 활용해 A, B, C, D의 4단계로 산출했다.
위험 등급은 A등급(상위 0∼10%), B등급(상위 10∼30%), C등급(상위 30∼60%), D등급(상위 60∼100%)으로 분류된다.

A등급에 가까울수록 위험도가 높아 해당 지역 내 산불로 인한 재산, 인명 피해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적극적인 예방 활동이 요구된다.
이 지도는 산불감시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산불 조심 기간 입산통제구역과 등산로 폐쇄구역을 선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진화 차량이나 헬기를 산불취약지역에 전진 배치해 이른 시간 안에 진화하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산불관리통합규정에서 명시한 산불취약지역을 선정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예측·분석센터 관계자는 "최근 산림휴양 수요와 귀농인 증가로 산림인접지의 산불피해 위험이 계속 커진다"며 "산불 취약지도를 활용하면, 내가 사는 지역이 얼마나 산불에 취약한지 알 수 있어 산불 예방 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산불 취약지도는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홈페이지(www.nifos.go.kr)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국립산림과학원 도서관(http://know.nifos.go.kr/book)에서 발간자료를 내려받을 수 있다.
ye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