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경금지 이후 500마리→4만마리 자연 개체수 유지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04/AKR20190304142700009_02_i.jpg)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1960년대 초반 개체수가 500마리까지 급감하며 멸종위기를 맞았던 호주 혹등고래가 상업포경이 금지된 이후 꾸준히 늘어나면서 최근 2만5천 마리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dpa 등 외신에 따르면 호주 퀸즐랜드대학(UQ) 수의과학대학원 마이클 노아드 부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과학저널 '개체군생태학(Population Ecology)' 최신호에 실린 논문에서 이같이 밝히고, 혹등고래 개체수가 곧 절정에 이른 뒤 더는 증가하지 않는 상태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아드 부교수는 혹등고래가 매년 평균 10.9%씩 증가세를 보여왔으며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2021~2026년에 약 4만 마리로 절정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그 이후에는 자연 상태에서 개체수 증가에 따른 치열한 먹이 경쟁이나 짝짓기 대상 부족, 질병, 기타 환경적 요인 등으로 개체수가 더는 늘지 않고 평행선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줄어들게 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04/AKR20190304142700009_01_i.jpg)
연구팀은 멸종위기에서 빠르게 벗어난 호주 혹등고래가 정확히 어떻게 이런 현상을 겪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연구할 계획이다.
호주 포경업계는 1952년부터 1962년까지 혹등고래의 95%에 달하는 약 4만 마리를 잡아 혹등고래를 멸종위기로 몰아넣었으며, 1962년부터 포경이 금지됐다.
혹등고래는 몸길이 16m에 몸무게 45t까지 자랄 수 있으며, 대왕고래, 향유고래, 참고래 등에 이어 가장 큰 고래 종에 속한다.
eomn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