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4.48

  • 1.43
  • 0.06%
코스닥

675.84

  • 2.35
  • 0.35%
1/3

"中·이란, 미국의 무역전쟁-핵합의탈퇴 이후 對美 해킹 강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中·이란, 미국의 무역전쟁-핵합의탈퇴 이후 對美 해킹 강화"




(뉴욕=연합뉴스) 이귀원 특파원 = 미중 무역전쟁과 미국의 이란 핵합의 탈퇴 이후 중국과 이란의 미국 정부기관, 기업 등에 대한 해킹이 강화됐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민관 보안 전문가들을 인용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YT는 지난 2015년 9월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에서 사이버 해킹 방지를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한 이후 중국의 대미(對美) 해킹은 다소 소강상태였지만 미중 무역분쟁 와중에 해킹 활동이 더욱 은밀하고 정교한 방법으로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고 평가했다.
미 정보 관리들과 민간 보안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 속에 미중간 2015년 '사이버 해킹 방지' 합의가 사문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NYT는 최근 미 보잉사와 항공기 엔진 제조사인 제너럴일렉트릭(GE) 에이비에이션, 통신업체인 T모바일 등이 중국의 해킹 표적이 됐다면서 다만 실제 해킹 피해가 발생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미국외교협회(CFR)의 애덤 시걸 디지털·사이버 정책 프로그램 국장은 해킹이 과거 중국 인민해방군에 의해 이뤄졌지만, 최근에는 정보기관인 국가안전부가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해킹은 군사적 목적도 일부 있지만 중국의 5개년 경제계획과 다른 기술 전략 수요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NYT는 중국의 5개년 경제계획과 관련, 인공지능(AI)과 다른 첨단 기술 분야에서 중국이 리더가 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지난 7일 중국 국가안전부의 지원을 받는 해커 집단으로 알려진 'APT 10'이 노르웨이 기업 '비스마'의 네트워크에 침입해 고객 기업과 관련된 기밀을 빼내려고 했다고 미 보안회사 '레코디드 퓨처'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란도 지난해 페르시아만 국가들을 상대로 일련의 해킹을 시작한 이후 미국은 물론, 12개 유럽국가의 인터넷 서비스공급자(ISP)와 통신회사, 정부 기관 등 80개 표적을 대상으로 해킹을 확대했다고 미 사이버보안업체 '파이어아이'(FireEye)를 인용해 NYT는 전했다.
특히 미 국토안보부는 지난달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당시 이란의 해킹공격에 대응하는 '긴급 명령'을 발동하기도 했었다고 NYT는 설명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지난 13일 미 정부와 미국인을 타깃으로 한 이란 정권의 사이버 공격 등을 지원한 혐의로 이란 기관과 개인 등 총 11개 대상을 제재했다.
lkw77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