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400억원 원전해체硏 입지놓고 부산·울산·경북 신경전
부산·울산 "인프라 갖춰진 접경지, 정부 용역서 우수한 평가"
경북 "확정 안 된 사안, 산업부와 협의 진행 중" 반발
(부산·울산·경주=연합뉴스) 박창수 장영은 손대성 기자 = 2천400억원이 들어갈 국내 첫 원전 해체연구소 입지 선정을 앞두고 동남권 지방자치단체 간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가 입지 선정 용역을 진행 중인 가운데 부산시와 울산시가 원전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춰진 부·울 접경지역이 정부 용역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 연구소 입지로 유력해졌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원전 소재지인 경주를 내세워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경북도는 '확정되지 않은 사안'이라며 반발했다.
12일 부산시와 울산시는 "동남권 원전해체연구소 설립을 위한 산업통상자원부 연구용역에서 부산 기장군 장안읍과 울산 울주군 서생면 접경지역이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고 주장했다.
부산시 고위 관계자는 "아직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부산과 울산 공동으로 원전 해체연구소를 유치하는 쪽이 유력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시 관계자 역시 "이 지역은 영구정지된 원전인 고리 1호기가 있고 원전해체 연구를 위한 산학연 인프라가 가장 잘 갖춰져 있어 용역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와 울산시 주장을 종합하면 연관 산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원전 밀집 지역인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이 원전해체연구소 입지로 최적이라는 쪽으로 연구용역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 입지, 규모 등 세부 방안은 결정된 바가 없고 희망 지자체들과 계속 협의 중이다. 최종적으로 3월 말까지 확정할 방침이다"고 말을 아꼈지만, 부산·울산 공동 유치 가능성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입지가 선정되면 2022년 완공을 목표로 2020년부터 공사가 시작된다.
연구소 건립비용은 2천400억원으로 추산되며 중앙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이 인프라 비용을 나눠 부담하게 된다.
당장 부산, 울산과 함께 원전해체연구소 유치에 나섰던 경주시와 경북도는 반발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정부가 원전해체연구소와 관련해 공모하지 않고 협의해서 하기로 했고 현재 협의하는 중"이라며 "협의란 말은 일방적 양보를 의미하는 게 아니다"고 반발했다.
현재 국내에 가동 중인 원전은 모두 24기로 이 가운데 12기 수명이 2030년에 끝난다.
한국수력원자력이 2017년 영구폐쇄한 고리 1호기를 2032년까지 7천515억원을 들여 해체하기로 한 점을 고려할 때 수명이 끝나는 원전을 해체하는데 드는 비용은 10조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세계 원전해체 시장은 앞으로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1960∼1980년대 건설한 원전의 사용기한이 임박함에 따라 해체에 들어가는 원전이 2020년대 183기, 2030년대 이후 216기 등 앞으로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원전 연장 가동 등 변수가 있지만, 원전해체가 2050년 이후까지 계속되면 총 440조원(2014년 기준가) 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연구원은 추산했다.
정부는 원전해체 시장이 급성장할 것에 대비해 관련 기술을 축적하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원전해체연구소를 원전이 몰려 있는 동남권에 건설하기로 했다.
pc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