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주도…새로운 유전병 치료제 개발 가능성↑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21/AKR201901211080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대표적 항생제 '젠타마이신 B'의 미생물 내 합성 과정 비밀이 드러났다.
한국연구재단은 이화여대 윤여준 교수가 주도한 연구팀이 젠타마이신 B 생합성 과정을 완전히 규명하고, 중간체의 유전병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이화여대 차선신 교수, 미 텍사스대 항웬 류 교수, 고려대 박제원 교수 연구팀이 함께했다.
젠타마이신 B는 결핵균·포도상구균 등에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항생제다.
슈퍼박테리아에 사용되는 2세대 항생제(이세파마이신) 합성 원료이기도 하다.
자연에서는 극소량만 생산할 수 있어서, 생합성 과정을 들여다보고 생성물량을 늘리려는 목적의 연구가 이어졌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21/AKR20190121108000063_02_i.jpg)
연구팀은 젠타마이신 B의 생합성에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는 모든 중간체를 화학적으로 합성했다.
그렇게 만들어낸 물질을 관련 효소와 반응하는 방법으로 젠타마이신 B 생합성 경로를 최초로 알아냈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 내 젠타마이신 B가 극소량 생산되는 원인의 실마리를 함께 찾았다.
반응에 필수적인 효소가 기질 유연성이 낮은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생합성 과정에서 유전병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중간체 7종도 발굴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21/AKR20190121108000063_03_i.jpg)
필수 단백질 결손으로 발병하는 낭성 섬유증, 듀시엔형 근이영양증, 헐러 증후군 등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윤여준 교수는 "50여년 동안 알려지지 않은 주요 항생제 미생물 내 합성 과정을 처음 살핀 것"이라며 "자연계에 극소량 존재하는 중간체는 유전병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21/AKR20190121108000063_04_i.jpg)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 15일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