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수가 낮아 외면…부산 유일의 다인용 갖춘 위한병원도 폐업위기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12/20/10/PCM20181220000010990_P2.jpg)
(부산=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최근 일산화탄소 중독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치료 장비인 고압산소 치료기(고압산소 체임버)를 보유한 의료기관이 적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19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지역 고압산소 치료기는 부산대와 고신대 병원, 수영구 위한병원 등 3곳에 설치돼 있다.
이 중 두 대학병원 장비는 1인용이고 위한병원만 6명 이상 수용할 수 있는 다인용이다.
그러나 2017년 문을 연 위한병원은 운영난 탓에 이달 말에 폐업할 처지에 놓였다.
위한병원이 문을 닫으면 부산에는 다인용 고압산소 치료기가 한 대도 없게 된다.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때 환자 1명당 치료시간은 1시간에서 최대 3시간이 걸린다.
다인용 치료기가 없을 경우 한꺼번에 많은 환자가 발생하면 대응이 어렵게 되는 셈이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6/11/02/01/C0A8CA3C000001582412CB1C0000E9F7_P2.jpeg)
우리나라는 연탄 난방을 많이 쓰던 1980년대만 해도 연탄가스 중독사고가 잦아 전국 300개 이상 의료기관에 고압산소 치료기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불과 전국 22개 의료기관만 이 장비를 보유하고 있고, 대부분이 1인용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도시가스 등 다른 난방 연료가 연탄을 대체한 데다 고압산소 치료기 사용 때 의료보험 수가가 낮고 인건비가 많이 드는 게 주요 원인이다.
이 장비 설치비용은 1인용 2억원, 10인용 10억원 수준이다. 관리비와 인건비는 별도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6/11/02/01/C0A8CA3C000001582412CB260000E9F8_P2.jpeg)
고압산소 치료기는 체임버 안에 높은 압력으로 산소를 주입하는 장비다.
일산화탄소 중독환자 외에 해녀나 스쿠버다이버 등 잠수병을 앓는 사람들 치료는 물론 색전증, 두개골 내 농양, 당뇨발, 난치성 궤양 등 질환 치료에도 사용된다.
미국에는 1천개가 넘는 고압산소 치료시설이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12/20/34/PCM20181220000034990_P2.jpg)
부산시는 고압산소 치료기를 보강하려고 부산의료원에 설치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애초에 1인용으로 보강을 검토했으나 최근 전국에 잇따르는 사고로 다인용을 추진하려고 한다"며 "보건복지부 사업비 지원이 안 되면 올해 시 추경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itbul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