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수소경제' 선도국가 무리한 꿈이 아니다
(서울=연합뉴스) 정부가 17일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에는 수소차와 수소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관련 산업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하기 위해 수소의 생산·저장·운송·활용을 아우르는 발전 전략이 담겼다. 수소 경제는 전력 생산과 자동차 연료, 난방 등에 사용하는 연료를 수소로 바꾸면서 이를 산업화하는 것으로 화석연료 시대의 '탄소 경제'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수소는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친환경 에너지원일 뿐 아니라 현재의 에너지원이 수소로 대체될 경우 다양한 산업을 만들어내는 전·후방 연관 효과도 크다고 한다. 세계 수소 경제 시장이 아직은 초기 단계고, 경쟁 상대도 극소수 국가여서 수소 경제 산업을 잘만 육성하면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로드맵에 따르면 현재 2천 대도 안 되는 수소차 누적 생산량을 2040년까지 620만대로 늘리고 14곳에 불과한 수소 충전소도 1천200곳으로 확대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고, 도심에 소규모 설치가 가능한 친환경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생산을 2040년까지 원전 15기 발전량에 해당하는 15GW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전 단계로 2025년까지 수소차 연산 10만대 양산 체계가 갖춰지고 수소 충전소도 330곳으로 늘어난다. 정부는 로드맵이 차질없이 이행되면 2040년에는 연간 43조원의 부가가치와 42만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맥킨지 컨설팅은 글로벌 수소산업의 부가가치가 2050년에 2조5천억 달러(약 2천8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로드맵은 정부가 지난해 8월 수소 경제를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등과 함께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한 이후 전문가 100여명의 의견을 듣고 연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마련했다고 한다. 우리가 수소 경제를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해 활성화 로드맵까지 내놓은 것은 여러모로 의미가 크다. 에너지를 많이 쓰면서도 에너지원 대부분을 외국에서 수입하는 한국으로서는 자체 생산이 가능한 수소를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삼으면 엄청난 수입대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최근 국가 과제로 떠오른 미세먼지·초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자동차나 반도체 산업이 외국 기술을 모방해 빠르게 추격하는 '패스트 팔로워' 분야였다면, 수소 경제 분야는 시장 초기 단계로 우리가 하기에 따라 처음부터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의 역할도 가능하다.
수소 경제 활성화로 미래 성장동력도 확보하고 친환경 국가를 만들려면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인프라가 부족한 상태에서 수요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정부가 초기 구매자의 역할을 해줘야 한다. 잠재 수요자인 국민들에게 수소가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주고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규제도 합리적으로 풀어줘야 한다. 이런 정책적 뒷받침이 따라 주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흐지부지될 수 있다. 다행히 우리는 수소차와 연료전지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고, 부생 수소 생산능력과 활용 경험도 축적돼 있다고 한다. 수소차 개발에 힘써온 현대차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로는 처음으로 2013년 초 수소차 양산체제를 갖췄다. 정부와 민간의 유기적 협력이 이뤄지면 우리라고 수소 경제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국가가 되지 말란 법도 없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