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장기금리 움직임 비슷…ECB 인상하면 국내도 상승"
한은 보고서…"선진국 장기금리 주목해야"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국내와 유럽의 장기금리 움직임이 점차 비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럽중앙은행(ECB)이 본격적으로 금리를 올리면 국내 금리도 덩달아 상승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8일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2018년 12월호에 실린 '국내외 장기금리의 동조화 원인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한국과 독일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 상관계수는 금융위기 이전(2000년 1월∼2007년 12월) 0.77에서 금융위기 이후(2010년 1월∼2018년 6월) 0.96으로 상승했다.
프랑스와의 상관계수는 같은 기간 0.78에서 0.94로 올랐고 네덜란드의 경우 0.18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한국과 주요 신흥국의 10년 만기 국채 금리 상관계수는 0.32에서 0.08로 급락했다.
미국과의 상관계수는 다른 국가들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유럽 선진국의 장기금리 움직임이 비슷해진 배경으로는 주요국이 금융위기 이후 단행한 양적 완화 정책이 꼽힌다.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장기국채를 대규모로 매입해 돈을 푸는 과정에서 장기금리에 붙는 기간 프리미엄이 동시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장기금리 기간 프리미엄이란 장기채권 가격 변동 손실, 만기 도래 이전 거래 비용 등과 같이 채권을 장기로 보유하는 데 따른 추가적 보상을 의미한다.
장기금리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는 기간 프리미엄이 하락하며 유럽과의 금리 동조화도 높아졌다는 것이다.
또, 글로벌 저성장·저물가가 장기간 지속하며 국내외 정책 금리가 낮은 수준을 유지한 영향도 있다.
특히 대외 의존도, 제조업 비중 등 선진 유럽 국가와 한국의 경제 구조가 비슷해지고 교역이 확대하면서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선진 유럽 국가와 경제 성장률 상관관계가 크게 높아졌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국의 대외건전성이 양호해지며 신용등급이 개선한 여파도 있다.
이에 따라 장기 투자 성향을 지닌 주요국 중앙은행, 정부 등 외국인 채권투자 자금 유입이 늘었다.
이 때문에 국제금융시장에 불안이 확대할 때에도 신흥국 금리는 상승했지만 한국의 장기금리는 선진국처럼 하락했다.
보고서는 ECB가 금리를 인상하는 등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면 국내 장기금리도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이 2015년 12월∼작년 6월 정책 금리를 1.75%포인트 인상한 와중에도 ECB의 기준금리는 큰 변화가 없었다.
미국 금리 인상은 유럽 등 다른 국가의 인상을 촉발하는 신호로 여겨진다. 미국이 금리를 계속 올리면 다른 국가들도 자금 유출 우려 등으로 인해 장기간 금리 동결을 유지할 수 없다는 시각에서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은 성병묵·원지환·이지혜 과장과 정성환 조사역은 "ECB 등 미국 이외의 주요국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설 경우 우리나라의 장기금리가 선진국 장기금리와 동반 상승하면서 현재보다는 높은 수준에 형성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며 "선진국 장기금리의 기조적 흐름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