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4.48

  • 1.43
  • 0.06%
코스닥

675.84

  • 2.35
  • 0.35%
1/3

결혼 전에는 비슷했는데…유부남·유부녀 고용률 격차 28.5%p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결혼 전에는 비슷했는데…유부남·유부녀 고용률 격차 28.5%p
15∼54세 기혼 여성 취업자 37.5%는 경력단절 경험자
10명 중 6명 '가사 공평 분담' 생각하지만 2명만 실천


(세종=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남녀의 고용률은 결혼 전에는 비슷하지만, 결혼 후에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4일 공개한 '2018 일·가정 양립 지표' 보고서를 보면 2017년 기준 남녀 고용률 차이는 미혼인 경우 1.6%포인트였으나 배우자가 있는 남녀의 경우 그 차이가 28.5%포인트에 달했다.
양쪽 모두 남성의 고용률이 높았다.
고용률은 미혼자의 경우 남성이 52.8%, 여성이 51.2%였으며 배우자가 있는 이들의 경우 남성은 81.9%, 여성은 53.4%였다.
남녀의 고용률은 미혼의 경우 2016년에는 남성이 1.3%포인트 높은 수준이었는데 1년 사이에 격차가 더 벌어졌다.
배우자가 있는 남녀의 고용률 차이는 2016년 29.4%포인트였으며 1년 사이에 격차가 약간 완화했다.



여성 취업자는 결혼, 임신, 출산, 육아, 자녀 교육, 가족 돌봄 등을 위해 일을 그만두는 이른바 '경력단절'을 심각하게 겪고 있었다.
올해 기준 15∼54세 기혼 여성 취업자 중 경력단절 경험자의 비율은 37.5%였다.
2017년 기준 18세 미만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는 220만7천 가구로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48.6%였으며 전년보다 그 비율은 0.2%포인트 높았다.
같은 해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아버지의 고용률은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높고, 어머니의 고용률은 자녀 연령이 어릴수록 낮았다.
아버지의 고용률은 자녀가 6세 이하인 경우 97.1%, 7∼12세이면 96.5%, 13∼17세이면 94.7%였지만 같은 자녀 연령대 기준으로 어머니의 고용률은 각각 46.4%, 59.5%, 69.2%의 분포를 보였다.

2017년 전체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율은 44.6%로 전년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취업자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42.8시간으로 2016년보다 0.2시간 줄었다.
남성은 평균 45.2시간, 여성은 평균 39.6시간으로 2016년보다 각각 0.2시간, 0.1시간 감소했다.
2017년 맞벌이 부부의 주당 근로시간은 남성이 46.3시간, 여성은 40.3시간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남성은 0.3시간 늘었고 여성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2017년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월평균 총 근로시간은 173.3시간, 초과 근로시간은 10.1시간으로 1년 전보다 각각 3.8시간, 0.6시간 줄었다.

한국 임금 근로자의 노동시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긴 편이었다.
2016년 한국 임금 근로자의 연간 근로시간은 2천52시간으로 통계청이 보고서에서 근로시간을 제시한 12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길었다.
올해 조사 기준으로 '남편과 아내가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은 59.1%에 달했지만 실제로 공평하게 가사를 분담하고 있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은 남편 20.2%, 부인 19.5%에 그쳤다.
2016년 기준 가사노동을 항목별로 분석하면 부인의 경우 식사 및 요리 준비, 설거지를 '거의 매번 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이 90.7%, 88.3%에 달했다.
남편의 참여율이 가장 높은 가사노동은 집안 청소였다.
응답자의 69.8%가 집안 청소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거의 매번 한다는 응답자는 5.2%에 그쳤고 22.5%는 주 1회 이하로 집안 청소를 한다고 반응해 부인의 54.5%가 집안 청소를 거의 매번 한다고 답한 것과는 대조됐다.
sewon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