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거시설 화재로 5년간 120명 숨져…전체의 70% 차지
16.3건당 1명 인명피해…소방설비 없는 단독주택 취약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 주거시설 화재로 인한 사망자가 5년간 서울에서만 12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서울 화재 사망자의 70%에 해당하는 수치다.
11일 서울시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3∼2017년) 서울에서 총 2만9천803건의 화재가 발생해 1천342명(사망 171명, 부상자 1천171명)명의 사상자를 냈다.
사망자 171명 중 주거시설 화재로 숨진 사람은 전체의 70.2%인 120명에 달했다. 이 중 단독주택 사망자는 67명(39.2%), 공동주택 사망자는 47명(27.5%)이었다.
같은 기간 주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1만1천983건으로 전체의 40.2%를 차지했다. 사망자를 포함한 사상자는 전체의 54.9%인 737명(사망 120명, 부상 617명)이었다.
주거시설 화재 16.3건당 1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셈인데 이는 전체 화재 평균(22.2건당 1명)보다 1.4배 높은 수치다.
주거시설 화재 10건 중 6건(57.6%, 6천897건)은 아파트,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했다. 아파트가 3천355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세대주택이 2천382건으로 뒤를 이었다.
다가구를 포함한 단독주택 화재는 4천935건이 발생해 주거시설 화재의 41.2%를 차지했다.
올해 기준으로 살펴보면 주거시설 화재는 10월 말까지 2천334건이 발생해 전체(5천372건)의 43.4%를 차지했다. 작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9%로 전체 화재 증가율(7.6%)을 웃돌았다.
올해 주거시설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172명(사망 25명, 부상 147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사망은 9명(56.3%), 부상은 41명(37.8%) 증가했다. 인명피해 증가율 역시 전체 평균보다 많았다.
주거시설 화재는 불이 났을 때 조기에 인지하는 게 중요하지만, 탐지 설비가 미비한 경우가 많다.
사망자 비율이 높은 단독주택은 스프링클러나 소화기 등 소방 설비가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많고, 자동화재탐지설비 의무 설치 대상도 아니라 더욱 취약하다는 게 소방재난본부의 설명이다.
공동주택의 경우 2015년 1월 개정된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연기 감지기를 설치해야 하지만 대부분 탐지 속도가 느린 열 감지기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시 소방재난본부 실험 결과 불꽃이 나는 화재의 경우 열감지기의 감지 속도가 연기감지기보다 2분 느렸고, 불꽃 없이 타는 훈소 화재는 아예 감지하지 못했다.
올해 7월 3명의 사상자를 낸 송파구 아파트 화재의 경우 열감지기가 설치돼 있었으나 초기 훈소 화재를 감지하지 못해 대응이 늦어졌다.
소방재난본부는 "2015년 1월 이전에 지은 아파트는 세대별로 화재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일단 주택에 불이 날 경우 연기배출을 위해 창문이나 출입문을 열면 산소공급으로 불길을 더욱 키울 수 있어 모든 문을 닫아두고 대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okk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