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자회의 합류로 北 정상국가화 포석…문대통령 "다양한 틀에 북한 포용" 강조
국제사회서 비핵화 지지 확산…한반도평화 논의틀 유지 의지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11/14/AKR20181114163700001_01_i.jpg)
(싱가포르=연합뉴스) 이상헌 임형섭 기자 =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한·아세안(ASEAN)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하자는 '돌발 제안'에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이는 북한으로 하여금 비핵화에 더 속도를 내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동시에, 아세안 국가들을 비핵화 논의에 더 깊이 참여시켜 한반도 평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한층 공고히 하겠다는 다중포석으로 보인다.
이번 제안은 14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선택(Suntec) 회의장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예고 없이 꺼내 든 것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사전에 이런 제안이 나올지 몰랐음에도, 조코위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되는 제안"이라며 적극적으로 초청을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는 우선 북한이 비핵화를 거쳐 정상국가로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좋은 무대로 활용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싱가포르 방문 당시 '싱가포르 렉처'를 통해서도 "한국과 아세안 간에 이미 구축된 다양한 협력과 교류 증진의 틀 내로 북한을 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진정성 있게 실천해 나갈 경우 아세안이 운영 중인 여러 회의체에 북한을 참여시키길 바란다"며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을 향해서도 아세안 등 국제사회 회의체에 참여하기 위해서라도 비핵화 조치에 속도를 내라는 메시지로도 풀이될 수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1/14/PYH2018111410130001300_P2.jpg)
이번 제안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논의에서 한국과 아세안의 결속을 더 강화한다는 취지로도 바라볼 수 있다.
비핵화 협상의 동력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한국 정부가 아세안과의 공동 평화·번영을 목표로 하는 신남방정책을 추진 중이라는 점, 아세안 10개국이 모두 북한과 수교를 맺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한국과 아세안이 공동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액션'에 나선다는 것은 상징적 의미가 더 클 수 있다.
야권을 중심으로 대북제재 등에 대한 한미 간 입장차에 대한 지적도 나오지만, 한국이 아세안 등 국제사회와 함께 움직이는 모습은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면서 비핵화 논의의 틀을 한층 안정적으로 만들 것이라는 분석도 일부에서 나온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11/13/PYH2018111306700001301_P2.jpg)
다만 특별정상회의는 내년 말에나 개최될 것으로 보여, 이번 제안이 현실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지는 아직 논하기 이르다는 반론도 나온다.
당장 김 위원장의 연내 한국 답방이 이뤄지기 전인 데다 2차 북미정상회담 역시 언제 이뤄질지 특정되지 않는 등 넘어야 할 과제가 많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조코위 대통령이 앞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남북한 정상의 공동참석을 제안했지만 성사되지 않은 것처럼, 이번 제안 역시 현실화 여부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하리라는 지적이 따른다.
honeybee@yna.co.kr, hysu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