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민주노총도 환골탈태해야 국민 지지받는다
(서울=연합뉴스) 양대 노총의 한 축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인간다운 삶과 존엄성'을 기치로 내걸고 1995년 11월 출범했다. 창립 당시 가입 노조는 866개에 조합원 수는 41만여명에 달했다. 전국적인 조직을 갖춘 민주노총은 노동기본권 쟁취부터 산업재해 추방까지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주역을 담당했다. 나아가 민주화와 통일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주노총이 창립선언문을 통해 다짐했듯이 '생산의 주역이면서 사회개혁과 역사발전의 원동력'이었다. 우리 사회의 버팀목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이런 민주노총이 이제는 '투쟁'과 '충돌'의 대명사가 됐다. 출범 20여년을 지나오면서 민주노총은 스스로 '권력'이 됐다.
민주노총과 산하 노조의 최근 행태 역시 국민을 실망시킨다. 경제 상황이 엄중한 시기에 사회적 책임을 지려는 모습은 찾기 어렵다. 민주노총은 대화와 협력의 틀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를 거부했다. 경사노위 출범 전날인 21일에 총파업을 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인건비를 낮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광주형 일자리'는 노동혁신과 노사 상생의 모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이 사업에도 어깃장을 놓았다. 여·야·정 상설 협의체가 합의한 탄력 근로제 확대 역시 제동을 걸고 나섰다. 사사건건 반대고 강경투쟁이다. 대화와 타협 속에 해결책을 찾기 바라는 국민의 여망은 본체만체다.
툭하면 점거 농성에 나서는 민주노총의 횡포는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한국GM 노조는 회사 측이 추진 중인 연구·개발 법인 분리를 반대하며 지난 8일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지역구 사무실을 점거하고 엿새째 농성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노조원들이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을 감금하는 일도 있었다. 공공운수노조 경북지부 간부들은 지난달 김천시 통합관제센터에 근무하는 기간제 근로자들의 무기계약직 전환을 요구하며 시장실을 점거해 이틀간 농성을 벌였다.
정부 여당이 최근 민주노총의 횡포를 좌시하지 않고 질타했다.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은 "민주노총과 전교조는 더는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홍 원내대표의 발언은 민주노총의 민낯을 드러낸다. 그는 "민주노총 이런 곳은 대화해서 뭐가 되는 곳이 아니다"라며 "자기들 생각을 100% 강요하려고 한다. 너무 일방적이고 말이 안 통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한국GM의 전신인 대우차 초대 노조위원장을 지냈고,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을 역임한 여권의 대표적인 친노동계 인사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작년 말 위원장 선거 때 '국민의 지지를 받는 민주노총'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고립·분열·무능을 뛰어넘겠다"고 했다. 취임 이후에도 기회 있을 때마다 사회적 공감을 얻기 위한 대화를 강조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날이 갈수록 국민의 지지를 받기는커녕 등을 돌리게 했다. 대화를 거부하면서 고립은 더욱 깊어져 갔다. 지금은 민노총이 뼈를 깎는 자세로 변화를 모색해야 할 때다. 과거 독재정권 하에서 벌였던 투쟁 일변도 자세에서 벗어나야 한다. 불법과 횡포의 구태를 벗어 던져야 한다. 민주노총이 사회적 책임을 무겁게 받아들이는 전향적인 모습을 보일 것을 촉구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