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69.71

  • 8.02
  • 0.31%
코스닥

768.98

  • 6.85
  • 0.90%
1/5

부피 1천배 줄이는 고주파수 슈퍼커패시터 기술 확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부피 1천배 줄이는 고주파수 슈퍼커패시터 기술 확보
한미 연구팀 성과…웨어러블 소형화로 가는 길에 도움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성균관대 박호석 교수와 미국 드렉셀대 유리 고고치 교수 연구팀이 고주파수 영역에서 부피 당 높은 에너지 용량을 가지는 슈퍼커패시터 기술을 확보했다고 11일 밝혔다.
슈퍼커패시터는 고성능 전기저장 장치 또는 대용량 축전지 등으로 불리는 에너지 저장장치(ESS)다.
화학반응 없이 전해질 이온이 전극에 흡착하는 반응을 이용해 전력을 저장한다.
빠른 충·방전, 높은 출력, 긴 수명 등 특성 덕분에 차세대 전지의 일종으로 분류한다.
다만 부피당 저장되는 전하량(정전 용량)이 아직 낮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멕센'(MXene) 기반 전극 소재와 고분자 네트워킹 젤 전해질을 만들어 기존 전해 콘덴서보다 부피를 1천배 이상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
멕센은 유리 고고치 교수가 2013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를 통해 보고한 2차원 물질이다.
우수한 전자 전도도와 빠른 이온 수송이라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 멕센을 이용해 60∼1만㎐(헤르츠)에서 에너지 저장 기능을 보이는 슈퍼커패시터 소재를 구현했다.
120㎐에서는 현재 보고된 수치 중 최고 면적·부피당 용량을 달성하기도 했다.
다양한 형태 변형과 대면적화에 더해 휘어진 상태에서도 3만 번 이상 충·방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호석 교수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안고 있는 용량과 주파수 간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전극과 전해질 구조를 제어한 원천소재 기술"이라며 "웨어러블 전자기기, 사물인터넷(IoT), 자가발전 스마트 센서 등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용화를 위해서는 경제적인 공정 개발, 신뢰성 확보, 소재 물성을 극대화한 중간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연구팀은 전망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 8일 셀(Cell press)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줄'(Joule)에 실렸다.
성균관대 그리시 군드 박사가 1저자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