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화재 남의 일 아니다'…박물관 46% 스프링클러 미설치
미술관은 40% 스프링클러 없어…인체에 유해 하론가스 소화약제 사용도 문제
(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최근 200년 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국립박물관이 화재로 유물 90%가 소실된 사건과 관련, 우리나라 박물관·미술관·도서관의 방재시스템도 재점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최경환(광주 북구을) 의원이 문화체육관광부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박물관 739개 중 46%, 미술관 184개 중 40%에 스프링클러 설치가 안 된 것으로 집계됐다.
서화류나 섬유류 등 물에도 쉽게 파손되기 쉬운 유물이나 도서를 보존할 수 있는 하론가스(HALON gas)와 청정소화약제가 설치된 박물관·미술관은 40% 수준에 그쳤다.
하론가스와 청정소화약제는 전기가 흐르는 전자 설비에도 사용할 수 있고 소화 후에 약제 잔재물이 남지 않아 박물관·미술관 등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문체부 소속 23개 기관 중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현대미술관 등 74%인 17개 기관이 하론가스 시스템(하론가스 소화기 포함)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하론가스는 오존층을 파괴하고 인체에 유해해 개선이 필요하다.
하론가스는 1987년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돼 국내 생산이 금지돼 있다.
2014년 11월 서울 종로구 우정총국 내에서 하론가스 50kg이 일시 방출돼 6명이 출입구 주변에서 산소 결핍 증세로 실신한 사건과 2016년 2월 김해시 어방동 한 빌딩에서 4층 천장이 무너져 하론가스가 유출, 2명 실신하는 사건 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최 의원은 "전국 박물관·미술관의 상당수가 스프링클러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고, 화재 발생 시 유물이나 도서를 보존할 수 있는 소화약제도 인체에 치명적인 하론가스를 사용하고 있다"며 "박물관 등 문화예술기관에 설치된 하론가스를 청정소화가스로 교체하고, 신규 건물에 대해서는 청정소화가스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ch8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