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연합뉴스) 29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중문 색달해변에서 열린 해양수산부 주최 '바다거북 방류행사'에서 참가자들이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을 방류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8/29/PYH2018082907410005600_P2.jpg)
이번에 방류한 바다거북은 바다에서 구조돼 치료한 개체 3마리, 인공부화한 개체 5마리, 생태연구용으로 해외에서 반입한 개체 5마리 등 13마리다.
종류별로는 붉은바다거북이 7마리, 푸른바다거북이 6마리다.
방류행사에는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관리공단,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박물관, 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 등 관계기관이 참여했다.
또 제주 서귀포 대신중학교 학생 및 지역 주민 등 약 100여 명이 함께해 방류된 바다거북들이 건강하게 살기를 기원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8/29/PYH2018082907930005600_P2.jpg)
해수부에 따르면 바다거북은 전 세계에 7종이 분포하며, 국제 환경 단체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이 바다거북을 종별로 위기 등급을 매겨 보호·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보호 노력에도 혼획 등 다양한 위협요인으로 인해 바다거북의 개체 수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해수부도 우리 바다에 출현하는 푸른바다거북·붉은바다거북·매부리바다거북·장수거북 등 4종을 보호대상 해양생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한화 아쿠아플라넷 여수에서 시행한 '바다거북 종 보전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8/29/PYH2018082907980005600_P2.jpg)
방류 장소인 중문 색달해변은 2007년 바다거북 산란지로 확인됐고, 겨울철에도 평균 수온이 14도 이상을 유지하는 곳이다.
또 먹이가 풍부하고 따뜻한 태평양으로 이동하기 쉬워 실내에서 기른 어린 개체들이 생존하기에 적합하다고 알려졌다. (글·사진 = 박지호 기자)
ji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