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美기준금리 인상에 예금이자 꿈틀…온라인 기반 은행이 주도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美기준금리 인상에 예금이자 꿈틀…온라인 기반 은행이 주도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美기준금리 인상에 예금이자 꿈틀…온라인 기반 은행이 주도



(뉴욕=연합뉴스) 이귀원 특파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에 미 은행들이 고객에 지급하는 예금이자도 꿈틀대기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예금자들이 예금이자를 거의 받지 못했던 '우울한 10년'이 끝나고 있다"며 "연준이 2015년 12월부터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한 후 은행들이 예금이자 인상에 더뎠지만 최근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미 연준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로 금리' 수준까지 내렸던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올리면서, 마침내 일반은행의 예금이자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75∼2.00%이며, 연준은 올해 두 차례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미 투자기관 KBW(Keefe, Bruyette & Woods)에 따르면 금리 인상분 가운데 예금이자 등 예금원가(deposit cost)가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디포짓 베타'(deposit beta)는 1분기 28%에서 2분기 44%로 뛰었다.
예금원가는 예금이자 등 은행영업에 필요한 경비가 예금액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WSJ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릴 때마다 금리 인상분 가운데 더 많은 부분이 고객들에게 돌아간다"고 설명했다.
WSJ은 다만 예금이자 인상은 온라인 기반 은행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대형 은행들은 단지 '제로 이상'의 상징적 수준이라고 전했다.
미국 은행 전체의 예금원가는 1분기의 0.53%에서 2분기 0.64%로 높아졌다.
온라인 은행들의 예금원가는 같은 기간 1.11%에서 1.29%로 더 큰 폭으로 뛰었다.
골드만삭스의 인터넷 개인 대출 플랫폼인 '마커스'(Marcus)와 신용카드사 싱크로니 파이낸셜은 연 1.83%의 예금이자를 지불하고 있다.
은행들은 단기 금리와 연동된 대출에 대해서는 지속해서 대출금리를 올리고 있고, 장기 대출 이자는 여전히 낮지만 은행들이 압박을 받고 있다고 WSJ은 덧붙였다.
lkw77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