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84.06

  • 7.99
  • 0.29%
코스닥

838.65

  • 3.47
  • 0.41%
1/2

터키 영화·건설시장 개방…FTA 서비스·투자 협정 발효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터키 영화·건설시장 개방…FTA 서비스·투자 협정 발효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터키 영화·건설시장 개방…FTA 서비스·투자 협정 발효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터키의 영화와 건설 등 서비스시장에 대한 우리 기업 진출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터키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협정이 지난 6월 양국 국내 절차를 마무리하고 내달 1일 발효한다고 31일 밝혔다.
이 협정은 터키의 영화, 공연 등 문화 서비스와 건설 분야에서 개방 수준을 높이고 안정적인 기업 투자를 위한 보호 규범을 강화했다.
양국은 2015년 2월 협정에 서명했으나 터키의 사정으로 일부 기술적 수정이 이뤄지면서 발효가 예상보다 지연됐다.
서비스 협정은 연안 해상운송, 정부조달, 보조금, 정부제공 서비스 등 일부 분야를 제외하고 양국 서비스 교역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조치를 적용 대상으로 했다.
양국 모두 자국의 세계무역기구(WTO) 도하개발어젠다(DDA) 양허안보다 높은 수준으로 서비스시장을 개방하기로 합의했다.
터키는 건설, 문화, 환경 등 총 18개 분야에서 DDA 양허안보다 높은 수준의 개방을 약속했다.
양허표에 기재한 분야만 개방하는 포지티브 방식을 채택했지만, 향후 터키가 다른 국가와 네거티브 방식의 협정을 체결할 경우 우리와 네거티브 후속협상을 개시할 것을 명시했다.
투자 협정은 모든 분야의 자유화를 전제로 하되 개방하지 않을 분야의 유보 목록을 작성하는 네거티브 방식을 채택했다.
터키에 투자한 우리 기업 보호를 위한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ISDS)를 현대화하되 우리는 농축산업, 에너지, 부동산 등 분야에서, 터키는 농어업, 광업, 부동산 등에서 정부의 정책 권한을 확보했다.
산업부는 이번 협정이 차나칼레 대교 등 최근 터키 내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우리 기업의 투자 보호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될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정부는 서비스무역위원회 등 FTA 이행채널을 통해 우리 기업 애로를 해소하고 안정적인 사업 환경을 조성하는 등 FTA 효과 증대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