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계속되는 유가 상승…6월 교역조건 3년7개월 만에 최악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계속되는 유가 상승…6월 교역조건 3년7개월 만에 최악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계속되는 유가 상승…6월 교역조건 3년7개월 만에 최악
석탄 및 석유제품 가격상승에 수입금액지수 상승
북미 완성차 수출 여전히 부진…11.4% 감소

(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기자 = 유가 상승세가 이어지며 교역조건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지난달 수출 1단위로 살 수 있는 수입품 양이 3년 7개월 만에 가장 적어졌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8년 6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을 보면 지난달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3.29로 작년 동월보다 7.3% 하락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지난해 12월부터 7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기보다 떨어졌다.
6월 지수는 2014년 11월(92.40)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전년동기비 하락폭도 2012년 4월(-7.5%) 이후 6년여 만에 가장 컸다.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상품 1단위를 수출한 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뜻한다. 수출 단가가 떨어지거나 수입 단가가 오르면 순상품 교역조건지수는 하락한다.
교역조건 악화는 유가 상승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 탓이 컸다.
지난달 지수의 기준이 되는 5월 국제유가가 1년 전보다 46.7% 뛰었다.
석유는 수입 후 반입하는 데 한달 가량 걸리는 탓에 이달 수입한 것을 다음 달에 사용한다.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보여주는 소득교역조건지수는 146.03으로 0.4% 올랐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3월부터 시작된 상승세를 4개월째 이어갔다. 하지만 상승폭은 5월 7.8%에서 쪼그라들었다.
한은 관계자는 "상승폭이 둔화한 만큼 추이를 지켜봐야겠지만, 교역조건 방향성을 하락세로 보긴 어렵다"라고 말했다.
수출물량지수는 156.53으로 1년 전보다 8.3% 상승했다.
수출물량지수는 2월 0.9% 하락했으나 3월 이후 매달 상승폭을 키웠고, 5월에는 13.4%나 올랐다. 하지만 6월에는 상승폭이 다시 줄었다.
세부적으로 전기 및 전자기기 수출물량은 집적회로와 저장장치인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수출 호조에 힘입어 작년 동월보다 24.7% 늘었다.
석탄 및 석유제품은 유가 상승 영향으로 16.3% 증가했다.
그러나 수송장비는 7.0% 줄어들며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수송장비는 지난달 4개월 만에 증가세를 보였다.
한은 관계자는 "5월에는 자동차 부분품 수출이 좋았다"며 "북미·미국 완성차 시장은 아직 좋지 않다"고 설명했다.
북미 완성차 수출물량은 1년 전보다 11.4% 감소했다.
수출금액지수는 142.22로 14.0% 올랐다.
석탄 및 석유제품(71.1%), 전기 및 전자기기(19.2%), 목재 및 종이제품(19.2%)이 지수 상승을 맨 앞에서 이끌었다.
수입물량지수는 131.22로 1.8% 떨어졌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를 포함한 일반기계 수입물량은 작년 6월보다 22.7% 줄었다.
지난해 반도체 제조용 기계 수입이 전년보다 4배 가까이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됐다.
환경 규제 때문에 중국산 철강 수입이 감소한 영향으로 제1차금속제품 수입물량도 7.4% 감소했다.
수입금액지수는 127.80으로 11.6% 상승했다. 유가상승 탓에 석탄 및 석유제품이 55.9%나 뛰었다.
hy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