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지방선거 참패로 벼랑 끝에 내몰린 자유한국당의 구원투수로 등판하게 된 김병준 국민대 명예교수는 '원조 친노(친노무현)' 인사로 분류됐던 인물이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지방분권 철학을 공유하며 노 전 대통령이 1990년대 설립한 지방자치실무연구소 연구소장으로 함께했다.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정책실장, 대통령 정책특보 등 중책을 맡은 배경이다.
노무현정부 당시 부동산 정책과 신행정수도 정책 등 주요 국정과제가 대부분 그의 손을 거쳤다.
특히 2006년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도 임명됐지만, 당시 한나라당에서 논문 표절 의혹을 집중적으로 제기해 취임 13일 만에 낙마하기도 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1/17/PYH2018011717820001300_P2.jpg)
문재인 대통령과도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등에서 한솥밥을 먹었고, 2009년 범친노계 모임인 '시민주권' 운영위원회에도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12년 대선을 앞두고 당내 경선에서 문 대통령이 아닌 김두관 전 경남지사를 지지했고 이후 친노세력에 대한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았다.
노무현정권이 마감한 뒤 공직과 거리를 뒀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박근혜정부의 총리후보로 지명돼 현 여권과 결별하고 전혀 다른 길을 걷게 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2016년 총선 이후에는 새누리당 의원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하거나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등 꾸준히 존재감을 드러냈고, 6·13 지방선거를 전후해서는 자유한국당 관련 행사에 모습을 자주 보였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한국당의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됐지만 고사했고, 지방선거 이후로는 유력한 비대위원장 후보로 계속 이름이 오르내렸다.
김 명예교수는 이날 의원총회를 거쳐 한국당을 쇄신할 혁신비대위원장 내정자로 최종 낙점됐으며, 한국당은 17일 오전 전국위원회에서 추인을 시도한다.
부인 김은영씨와 2녀.
▲ 경북 고령(64) ▲ 영남대 정치학과 ▲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 ▲ 경실련 지방자치위원장 ▲ 노무현 후보 정책자문단장 ▲ 인수위 정무분과 간사 ▲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이투데이 회장 ▲ 공공경영연구원 이사장
e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