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손엔 경제·한손엔 평화…文대통령 엿새간 新남방 '영토확장'
인도서 경협 확대로 新성장동력 창출…기업 시장개척 '지원사격'
J노믹스 성과창출 포석도…이재용·마힌드라 만남 '파격 장면'
'북미회담' 한달 만에 싱가포르로…평화메시지 내며 '촉진자' 재시동
'싱가포르 렉처'서 포스트 비핵화 구상…"아세안 공동번영 시대로"
(싱가포르=연합뉴스) 이상헌 임형섭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5박 6일간의 인도·싱가포르 국빈방문 일정을 마무리하고 13일 귀국길에 오른다.
"이번 순방은 신남방정책을 가속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청와대의 설명대로, 문 대통령은 엿새간 양국과의 협력관계를 한층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다.
문 대통령의 이번 순방 콘셉트는 '경제와 평화'라는 키워드로 압축된다.
우선 인도에서는 '경제'에 집중, 인도와의 교류를 확대해 4차 산업혁명에 대처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는 데 매진했고, 기업들의 시장진출에도 적극적으로 힘을 싣는 모습을 보였다.
북미정상회담 장소였던 싱가포르로 이동해서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메시지를 내는 데 무게를 뒀다.
이처럼 경제와 평화를 매개로 인도·싱가포르와 거리를 좁히면서, 이 지역을 교두보 삼아 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모색하는 단계로 신남방정책을 한층 업그레이드 하겠다는 것이 청와대의 구상이다.
◇ 인도와 경제협력 가속페달…이재용·마힌드라 만남에 '스포트라이트'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한·인도 관계를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수준으로 격상시키고자 한다"며 인도와의 경제교류 확대를 어느 나라 못지않게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내비쳤다
그만큼 인도의 시장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인도와의 협력 강화가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 꼭 필요하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모디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통해 '사람·상생번영·평화·미래를 위한 비전'을 채택, 현재 200억 달러 수준의 교역을 2030년까지 500억 달러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과 인도의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협상과 관련, 인도의 농수산품과 한국의 석유화학제품 등 핵심 분야에 대한 시장개방 확대 협상에 속도를 내기로 한 것 역시 양국의 교역을 확대를 가속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이 기존 신남방정책 전략인 '사람·상생번영·평화(People·Prosperity·Peace'에 미래(Future)라는 키워드를 더한 '3P 플러스' 전략을 내세우면서, 미래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공고히 해 4차 산업혁명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의 이런 노력에 호응, 모디 총리와 인도 언론 역시 문 대통령을 성의를 다해 예우하며 양국 관계가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는 희망을 보여줬다.
인도에서는 문 대통령의 '기업 힘싣기' 행보도 주목을 받았다.
문 대통령은 이번 인도 방문에서 기업인들로 구성된 대규모 경제사절단과 '동행'을 하면서 빼곡히 채워진 경제 관련 일정을 부지런히 소화했다.
여기에는 문재인 정부의 경제기조인 '제이(J) 노믹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줘야 한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보인다.
특히 9일 열린 삼성전자의 새 휴대전화 공장인 노이다 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 순방 일정의 '하이라이트'로 꼽힌다.
취임 후 처음으로 삼성그룹 관련 일정에 참여한 것임은 물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웃으며 악수를 하고 "한국에서도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한 것 등은 파격적인 장면이라는 관전평이 따른다.
이 부회장이 이른바 '국정농단 게이트' 관련 재판을 받고 있는 만큼 양측의 관계가 껄끄러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지만, 문 대통령은 이런 정치적 관점에서 접근하기보다는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만들기를 최우선시하는 모습을 보인 셈이다.
10일 문 대통령이 마힌드라 그룹의 아난드 마힌드라 회장을 만나 쌍용자동차 해고자 문제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한 것 역시,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 북미회담 한 달 만에 싱가포르서 '촉진자' 재시동…포스트 비핵화 구상도
문 대통령의 8~11일 인도 국빈방문이 '경제'에 포커스를 맞췄다면, 11~13일 싱가포르 국빈방문은 '평화'에 무게가 실렸다.
싱가포르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인 동시에 6·12 북미회담 개최국으로서 상징성을 가진다.
여기에 북미회담 꼭 한달 만에 싱가포르를 찾았다는 점, 최근 북미정상회담 후속회담 과정에서 북미 간 신경전이 벌어졌다는 점 등에서 '중재역'이자 '촉진자'로서 역할을 했던 문 대통령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에 자연스럽게 이목이 집중됐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12일 할리마 야콥 싱가포르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북미 간 협상은 이제 정상적인 궤도에 돌입했다"며 북미 대화 동력 살리기에 나섰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미국을 향한 북한의 적대적 태도를 두고 "(북한이) 자신들의 성의를 다해 실질적 조치를 취해 나가고 있는데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는 불평"이라며 "이는 협상 과정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전략"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아시아 국가들을 향해 최근 북미 간에 드러난 이상기류가 비핵화 논의 자체에 타격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아시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지지를 끌어내는 데 진력했다.
현재 북핵 문제는 북미 간 논의가 중심이지만, 한국 정부가 외교무대에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아시아 국가들의 지지를 확인한다면 비핵화 논의 역시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문 대통령이 모디 인도 총리와의 정상회담 후 "우리는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해 다자협의체에서의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 역시 같은 맥락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에서는 현지 여론주도층 인사 400여명을 상대로 '싱가포르 렉처' 연설에 나서, "한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경제지도를 그리게 될 것이며, 남북은 경제공동체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면서 '포스트 비핵화' 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여기서 문 대통령은 아시아 평화 정착을 위해 힘을 모으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아시아의 평화로 아시아의 시대를 열어가자"고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할리마 야콥 대통령이 주재한 국빈만찬에서도 "사람의 마음과 마음을 잇는 공동체를 만들고 이를 토대로 함께 번영을 누리며, 역내 평화를 증진하는 것이 신남방정책의 지향점"이라며 이후 신남방 외교의 방향을 제시했다.
hysu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