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자동차 관세 현실화 우려 하락 출발
(뉴욕=연합뉴스) 오진우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2일 미국의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 우려로 하락 출발했다.
오전 9시 39분(미 동부시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1.43포인트(0.67%) 하락한 24,109.98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4.35포인트(0.53%) 내린 2,704.0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1.30포인트(0.55%) 하락한 7,469.00에 거래됐다.
시장은 미국과 주요국의 무역충돌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동차 수입 관세가 가시적인 위험으로 부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일 발표된 미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아시다시피 자동차는 가장 큰 것이다. 우리는 철강을 얘기할 수도 있고, 모든 것을 얘기할 수 있다. (그렇지만) 가장 큰 것은 자동차"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서도 유럽연합(EU) 자동차에 대해 20% 수입 관세 부과를 언급하고, 수입차 및 부품이 자국 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한 조사가 3~4주 내로 끝날 것이라고 하는 등 자동차 관세 가능성을 지속해서 암시하고 있다.
EU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움직임에 대해 강력한 경고를 내놨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29일 미국 상무부에 서면으로 제출한 자료에서 자동차 관세 부과 시 최대 3천억 달러의 미국 상품에 대해 보복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FT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 위협에 대해 EU가 내놓은 첫 세부적 반응이라고 전했다.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가 지난주 EU 정상회의에서 미국과의 무역 갈등 고조가 정책 당국자나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고를 하는 등 무역전쟁에 따른 실물 경제의 후퇴 우려가 큰 상황이다.
도요타 등 글로벌 차 업체들도 관세에 대한 우려를 표하는 가운데, GM 등 미국 차 업체들도 반발하는 중이다.
자동차 산업은 공급 사슬이 전 세계적으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대형 산업인 만큼 관세 충돌 발생 시 후폭풍이 앞선 철강 관세와는 비교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미 행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 협정을 전면 무력화하는 법안인 '미국의 공정한 상호호혜 조치(Fair and Reciprocal Tariff Act)'를 추진 중이라는 보도를 내놨다.
매체는 다만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정책국장을 제외하면 이 법안과 관계된 대부분 관료는 비현실적이고 실행 불가능한 법안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이에 관해 "WTO에 일부 개혁이 필요하다는 견해는 비밀이 아니다"고 말했다.
로스 장관은 또 현재 추진하고 있는 무역정책에 수정을 가할 만한 주식시장의 하락 수준은 없다면서, 금융시장의 불안 때문에 무역정책이 후퇴할 수 있다는 일부의 전망을 일축했다.
이날 개장전 거래에서는 제약회사 알커머스 주가가 주사형 조현병 신약이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승인을 받은 데 힘입어 3% 올랐다.
이날 개장 전에는 발표된 경제지표가 없다. 개장 이후에는 마킷의 6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 공급자관리협회(ISM) 6월 제조업 PMI, 5월 건설지출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는 무역전쟁에 따른 주가의 부진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했다.
에스포사이토 증권의 마크 에스포타이토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WTO와 중국 등에 대해 위협을 가할 때마다 시장은 이에 반응할 수밖에 없다"며 "경제 성장 추세가 여전히 훼손되지는 않았다고 보지만, 무역정책은 단기적으로 엄청난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 주요국 주가는 하락했다.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지수는 0.91% 내렸다.
국제유가는 반락했다. 8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18% 하락한 74.02달러에, 브렌트유는 0.87% 하락한 78.54달러에 움직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9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71.3% 반영했다.
jwo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