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58.42

  • 3.53
  • 0.13%
코스닥

862.19

  • 9.14
  • 1.05%
1/1

"방통위 직권조정권, 헌법 부합하는지 살펴야"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방통위 직권조정권, 헌법 부합하는지 살펴야"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방통위 직권조정권, 헌법 부합하는지 살펴야"
최우정 교수, 한국언론법학회 세미나서 발표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한국언론법학회는 27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방송통신위위회의 직권조정 도입의 입법적 정당성 일고찰'을 주제로 미디어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발표자인 최우정 계명대 교수는 "직권조정 제도에는 '국가가 방송정책을 어떻게 파악하느냐'라는 근본적 철학의 문제가 전제돼 있다"며 "최근 방통위가 사업자들의 자발적 조정신청에 더해 직권조정을 추가로 도입하려고 하면서 직권조정제도의 목적과 필요성, 실효성에 대해 논란이 제기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그러면서 직권조정 도입과 관련, 헌법에 부합하는지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방통위의 직권조정 도입이 정책적으로나 법적으로 방송산업 영역에서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콘텐츠사업자인 방송사의 재산권, 직업 행사의 자유 등 본질적인 부분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고, 방송 콘텐츠의 제공과 구입에 대한 국가의 직접 개입은 헌법상 경제 질서에 배치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는 "방통위가 급변하는 방송 환경과 방송 산업 상황을 적절히 고려하면서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해야 한다"며 현재 입법 예고된 직권조정은 더욱 적극적인 공론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윤석민 서울대 교수 사회로 진행됐으며 권형둔 공주대 교수, 윤성옥 경기대 교수, 조소영 부산대 교수, 김우균 변호사, 이창훈 박사 등이 토론에 참여했다.
li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