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덤핑관세 피하자"…中 철강업계, 생산기지 해외이전 늘어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세르비아 소도시 스메데레보 외곽의 작은 철강 공장은 3년 전까지만 해도 폐쇄 위기에 내몰렸다.
자금난 탓에 철광석 같은 원자재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바퀴 없이 굴러가야 하는 자동차" 같은 신세가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상황이 달라졌다. 중국 국영 철강 제조사인 허베이(河北)철강집단이 새 주인이 되면서 생산량이 연일 최고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이 공장은 중국 국영 은행과 투자 펀드에서 수천만 달러가 투입되면서 가동이 정상화됐고 미국 수출도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처럼 중국이 철강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은 최근 몇 년 사이에 두드러졌다.
중국 내 생산 기반을 접고 대신 해외 시설을 사들이는 방식이다. 중국 국영 은행과 펀드는 이에 수백만 달러를 쏟아부었다.
이런 방향 전환은 중국 내 생산이 미국을 포함한 다른 여러 나라의 관세 압박에 시달려왔기 때문이다.
중국산 철강이 헐값으로 덤핑 수출돼 세계 시장을 잠식하는 게 문제가 됐다. 실제로 2011∼2016년 중국산 철강의 평균 수출 가격은 50% 떨어졌다.
이에 중국은 역외 공장에서는 반(反) 덤핑 관세가 거의 부과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해외로 눈을 돌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수입 철강, 알루미늄에 각각 25%, 10% 관세를 부과하긴 했지만, 중국으로서는 해외이전이 여전히 '남는 장사'다. 중국 내에서 생산된 철강에 붙는 반덤핑 과세율은 최고 200%를 웃돌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서 중국 철강 업체가 공장을 짓기로 한 국가는 브라질,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인도 등으로 확산 중이다.
컨설팅 업체 퓨쳐리스크의 트리스탄 켄더다인은 "중국은 산업 기반을 외부로 옮기고 출강, 알루미늄, 시멘트, 판유리, 섬유 등을 여전히 과잉 생산하고 있다"면서 "이들 모두 정부 보조금 없이는 경제적으로 생존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newgla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