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전월세 거래 늘면서 4월 기준 인구이동 4년 만에 늘어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조선·자동차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군산이 포함된 전북 지역 인구의 4월 순이동률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뒷걸음질쳤다.
전체 인구 이동자 수는 수도권 지역의 전·월세 거래가 늘면서 4월 기준으로 4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3/16/01/C0A8CAE2000001622C1E3CF400002C32_P2.jpg)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4월 국내 인구이동'을 보면 지난달 이동자 수는 59만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1.6% 증가했다.
4월 기준으로 이동자 수가 늘어난 것은 2014년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달에는 경기·인천 지역의 아파트 입주가 늘면서 전·월세 거래가 늘어난 점이 전체 이동자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경기지역 순이동자(전입-전출) 수는 1년 전(6천300명)의 2배가 넘는 1만2천800명을 기록, 2010년 4월(1만3천 명) 이후 가장 컸다.
이외에도 세종(3천638명), 충남(1천166명) 등 7개 시도의 전입 인구가 전출 인구보다 더 많았다.
반면 서울은 순이동자수가 1만67명 마이너스를 기록해 감소 폭이 가장 컸고 부산(-2천370명), 대전(-1천746명) 등 10개 시도도 전출이 전입보다 많은 순유출을 기록했다.
주민등록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순이동률은 14.1%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p)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세종이 15.2%로 가장 높았고 제주(1.8%), 경기(1.2%) 등 순이었다.
대전은 순이동률이 -1.4%를 기록해 감소폭이 가장 컸고 서울(-1.3%), 울산(-1.1%) 등이 뒤를 이었다.
조선업 구조조정, 군산 GM공장 폐쇄 등 악재가 겹친 전북 지역의 순이동률은 -0.5%를 기록해 4월 기준으로 2008년(-0.6%) 이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그만큼 인구에 비해 유출 인구가 많았다는 뜻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북 지역의 마이너스 순이동률에는 군산의 산업 구조조정 영향이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총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7.3%, 시도 간 이동자는 32.7%였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시도 내 이동자는 12.8% 늘었고 시도 간 이동자는 9.2% 증가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23/AKR20180523080500002_01_i.jpg)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