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부산 부경대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전기차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의 수명을 단축하는 열화 현상의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09/AKR20180509075300051_01_i.jpg)
연구팀에 따르면 충·방전 때 니켈 조성이 80%인 양극(+) 소재 안에서 니켈 전이금속이 용출되면서 양극 활물질이 생성되고 음극 표면에 저항층이 생겨 전지의 수명이 단축됐다.
그동안 리튬이온 전지의 양극 소재에 포함되는 니켈 함량을 50%에서 80%까지 증가시키면 전지의 용량은 증가하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니켈 함량이 높아지면 양극 소재의 수명이 단축되는 열화 현상이 가속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5/09/AKR20180509075300051_02_i.jpg)
이번 연구에 참여한 오필건 부경대 인쇄정보학과 교수는 열화 현상의 가속화를 해결하려고 양극 소재 표면에 나노 크기의 코발트옥사이드 결정 물질을 코팅했다.
그 결과 양극 활물질 구조에서 니켈 전이금속의 용출이 억제돼 소재의 수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 교수는 "전기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의 용량을 대폭 높이는 양극 소재가 개발된 것"이라며 "이번 연구로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 전지에 니켈 함량이 80% 이상인 니켈 레이어드 소재의 적용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동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에너지 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EES 온라인판에 게재됐고 네이처 미디어를 통해 '리서치 하이라이트'로 소개됐다.
pitbul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