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3

[연합시론] 정권교체 때마다 바뀌는 포스코 회장, 이대로 좋은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연합시론] 정권교체 때마다 바뀌는 포스코 회장, 이대로 좋은가

(서울=연합뉴스) 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돌연 사임 의사를 밝혔다. 포스코의 미래를 생각해서 자발적으로 퇴임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 측도 정부 개입설은 구체적 근거도 없을 뿐 아니라 본인 스스로 그에 대해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권 회장과 포스코의 이런 설명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다. 임기 2년여를 남기고 있는 권 회장은 지난달 말 회사 미래비전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등 직무 수행 의지를 강하게 드러난 바 있다.

과거에도 정권교체 때마다 포스코의 최고 경영자가 바뀌었다. 유상부(노무현 정부 시절 2003년 3월 사퇴), 이구택(이명박 정부 시절 2009년 1월 사퇴), 정준양(박근혜 정부 시절 2014년 3월 사퇴) 전 회장도 정권교체와 함께 물러났다. 1968년 설립 후 고(故) 박태준 초대회장부터 권 회장까지 총 8명의 회장이 취임했으나 모두 임기 중간에 그만뒀다. 재계 일각에서는 이런 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정권을 잡으면 능력보다는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물을 CEO로 선임하고, 이들 CEO는 정권과 유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후임 정부는 이들을 교체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낙하산을 낙하산으로 대체하는 구조가 지속했다는 것이다.

이제는 이런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 지난 2000년 민영화된 이후 포스코 주식에는 정부 지분이 전혀 없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민연금은 포스코에 대해 11.08%의 주식지분을 갖고 있지만, 한국 정부 지분은 0%다. 외국인 지분은 55.9%에 달한다. 민간기업의 주인은 정부가 아니다. 정부가 민간기업에 개입하면 능력과 신망을 갖춘 인물이 수장에 오르기가 쉽지 않고, 장기적인 사업계획을 짜는 것도 거의 불가능하다. 기업인들은 대통령 선거 때마다 후보들의 캠프를 기웃거릴 것이고 정경유착은 근절되지 않을 것이다. 기업에도 좋지 않고, 정치와 사회에도 악재다.

포스코는 연간매출 61조 원, 시가총액 29조 원 규모로 코스피 기업 중 순위 7위다. 한국 간판 기업이지만 갈수록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보호무역이 강화되면서 전망이 밝지 않다. 이런 기업이 CEO 리스크로 정권이 바뀔 때마다 휘청이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감당해야 한다.

이제는 포스코에 새로운 관행을 만들어야 한다. 능력 있는 CEO를 제대로 뽑고, 탁월한 성과를 내면 임기도 연장해줄 필요가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전문성, 미래비전, 조직 이해도, 열정, 소통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포스코를 도약시킬 적합한 인물을 가려내야 한다. 정부의 권력획득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줬다는 점을 내세워 한자리 얻으려는 사람은 철저히 배제할 필요가 있다. 문재인 정부가 올바르고 현명한 판단을 할 것으로 국민은 기대하고 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