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89.50

  • 27.40
  • 1.03%
코스닥

850.75

  • 4.91
  • 0.58%
1/2

KAIST, 부작용 낮춘 레이저 '광역학 치료제' 개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KAIST, 부작용 낮춘 레이저 '광역학 치료제' 개발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KAIST, 부작용 낮춘 레이저 '광역학 치료제' 개발
"근적외선 형광물질 기반…원하는 부위만 치료 가능"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유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근적외선 형광물질 기반 광역학 치료제(PhotoDynamic Therapy·PDT)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PDT는 약물이나 유전자가 아닌 레이저를 이용하는 치료법이다.
활성산소 변화를 유도해 세포를 자가 사멸(apoptosis)하도록 한다.
피부병 치료 등 일상에서 많이 활용된다.
이 기술은 원하는 위치에 많은 물질을 전달하는 게 필수적이다.
학계에선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 치료 효과를 집중시키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PDT 조영제로 만들어진 활성산소는 미토콘드리아 막을 공격해 세포 사멸을 일으킨다.
암세포 미토콘드리아는 일반 세포와 비교했을 때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차이가 높아 양전하 소수성 물질이 더 잘 투입되는 특성이 있다.


연구팀은 이 PDT 조영제 효과를 더 끌어올리고자 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롬화물, 아민 그룹으로 구성된 물질을 개발했다.
동물(쥐) 실험을 통해 효과적으로 표적 치료가 이뤄지는 것도 확인했다.
이 물질은 근적외선 영역에서 흡광·발광을 통한 662㎚(나노미터) 영역 레이저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기존보다 투과성을 높였다.
일반적인 가시 광역 조영제보다 100배 이상 우수한 감도도 구현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노일구 박사과정(논문 1저자)은 "레이저를 조사했을 때 원하는 부분에만 부작용 없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치료 후 독성 없이 분해되는 것도 특징"이라고 말했다.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지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참여한 연구 논문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3월 25일 자 표지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