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발 '슈퍼결핵' 경보…국제기구 철수에 역내 보건참사 우려
세계기금 6월 북한 결핵퇴치 중단…"다제내성 결핵감염 급증"
대북제재 여파설…"정치적으로 생긴 문제가 값비싼 재앙될수도"
(서울=연합뉴스) 박인영 기자 = 북한의 결핵 퇴치를 지원해온 한 국제기구가 오는 6월 지원을 중단키로 하면서 세계 의료계에서 기존 의약품에 내성을 보이는 '슈퍼 결핵'의 창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하버드대 의과대학원 소속 전문의들이 북한에 대한 결핵퇴치 지원이 중단되면 "북한 전역에서 품질이 보장된 결핵 치료제의 막대한 품귀 사태"가 빚어질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앞서 지난 2월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The 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이하 세계기금)은 2010년부터 이어온 북한의 결핵·말라리아 퇴치 프로그램을 오는 6월 중단한다고 밝혔다.
세계기금은 자원 배치와 지원의 효율성에 대한 보장 및 리스크 관리가 요구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중단 배경을 설명했다.
김형훈 북한 보건성 부상은 지난달 세계기금에 보낸 서한에서 "인도주의 협조를 정치화하려는 일부 세력의 압력에 의한 것"이라며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여파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런 소식이 알려지자 하버드 의과대학원의 의료진은 세계기금에 공개서한을 보냈고 이는 지난달 영국의 의학전문지 '랜싯'에 실렸다.
의료진은 치료제 부족 탓에 의료진이 치료제를 배급하고 환자들은 필요한 복용량을 채우지 못하면서 다제내성 결핵균이 급속도로 생겨난 전례가 있다고 서한에서 지적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집계에 따르면 2016년 북한 내 결핵 환자 13만여명 가운데 5천700명은 결핵 치료제 리팜피신이나 최소 2가지 이상의 치료제에 내성을 가진 결핵균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한의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실제 상황은 훨씬 심각하다.
연구진이 결핵 환자 수백명의 객담 샘플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4분의 3 이상이 다제내성 결핵균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슈퍼 결핵균에 감염된 환자들은 완치되기까지 보통 2년여가량 소요되는데 그러려면 6개월여가량 매일 주사를 맞고 1만4천알의 치료제를 복용해야 한다.
약물 복용 기간이 너무 짧거나 저질 치료제를 복용하는 것은 약물 내성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북한 주민의 만성 영양실조도 슈퍼 결핵의 창궐을 부추길 것이라는 설명이다.
하버드 의대 출신 결핵 치료 전문의 제니퍼 푸린은 북한에 대한 지원 중단은 "세계 의료계가 장차 큰 대가를 치러야 하는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는 정치적으로 발생한 문제로, 향후 북한 주민뿐 아니라 역내 모든 이들의 보건 참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슈퍼 결핵균' 창궐에 대비해 북한과 맞닿은 중국 당국은 자국 내 북한 근로자들에 대한 경계를 강화해왔다.
북중접경도시 단둥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 검역 당국이 검사한 북한인 9천500명 가운데 33명이 결핵 환자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다제내성 결핵균이 북한 밖으로 퍼져나갈 경우 이를 퇴치하는 데 수십년이 걸릴 수 있고 접경국인 중국이나 한국의 공중보건에 심각한 타격을 가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푸린은 "이것(슈퍼 결핵균)은 그 자체로 살상 무기다. 결핵은 공기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이다. 그것은 국경 안에만 머무르지 않는다"라고 강조했다.
mong0716@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좋아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