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4/10/AKR20180410145800017_01_i.jpg)
보사연 보고서, 소득·교육 수준 낮을수록 성인 흡연율도 높아
"부의 불평등뿐 아니라 건강불평등 세대 간 대물림 우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06/07/PYH201606070892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우리나라에서 흡연율은 소득과 교육 수준과 같은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계층별로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흡연율은 소득과 학력이 낮을수록 올라갔고, 청소년 흡연율도 부모 소득이 적은 경우 더 높았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연구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2013∼2015년 흡연율은 42.0%이지만, 사회경제적 위치(socioeconomic position)에 따른 인구집단별 흡연율은 서로 차이가 있었다.
소득 수준을 상, 중상, 중하, 하로 구분했을 때, 각각의 흡연율은 44.9%, 43.5%, 42.0%, 37.1%로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았다. '상'과 '하' 계층의 흡연율 차이는 7.8%포인트에 달했다.
교육수준별로는 30∼64세 인구집단에서는 초졸 이하의 흡연율이 63.8%로 가장 높고 이어 중·고졸(53.8%), 전문대졸 이상(41.2%) 순으로 흡연율은 교육 수준에 따라 최대 22.6% 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직업별로는 육체직의 흡연율이 52.5%로 가장 높았고, 서비스·판매직(28.9%), 사무직(26.1%) 순이었다.
흡연율의 사회경제적 격차는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집단에서도 비슷했다.
보고서는 "흡연율의 차이는 소득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낮은 특정 집단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인구집단에서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계층별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8/04/11/GYH2018041100020004400_P2.jpg)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 흡연율도 부모세대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12∼18세 남성 청소년의 2016년 흡연율은 9.6%인데,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청소년 흡연율은 소득 수준이 하(17.2%)인 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며, 중하(8.9%), 상(7.3%), 중(5.4%), 중상(5.1%) 순이었다. 가구 소득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은 것이다.
학교 유형별로는 특성화계고(17.4%)가 가장 높았고, 일반계고(7.8%), 중학교(2.5%) 순이었다.
청소년 흡연율은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라서도 격차가 나타났다.
아버지 교육 수준이 중졸 이하인 경우 청소년 흡연율이 12.4%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고졸 이하(8.0%), 전문대졸 이상(4.9%) 순이었고, 어머니 교육수준별로도 중졸 이하인 경우가 9.7%로 청소년 흡연율이 가장 높았다.
보고서는 "부의 불평등뿐만 아니라 건강불평등 또한 세대 간에 대물림될 우려가 있음을 보여주는 통계"라며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차단하기 위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기된다"고 말했다.
<YNAPHOTO path='AKR20180410145800017_01_i.jpg' id='AKR20180410145800017_0101' title='소득수준별·직업별·성별 현재 흡연율(19세 이상, 2013-2015년)' caption=''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withwi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