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여파로 판매·운송·청소 일자리 80만개 감소
2030년까지…정보통신·과학기술·공학·문화예술 등은 92만명 늘어
(서울=연합뉴스) 김범수 기자 =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2030년까지 매장 판매, 운전·운송, 청소·경비 등 고용감소 직군에서 80만 명 가량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정부 조사결과가 나왔다.
반면 정보통신·과학기술 전문가 등 고용증가 직업에서는 92만 명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고용노동부는 8일 광화문 KT빌딩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16∼2030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 전망'을 보고했다.
이번 인력수요 전망은 2017년 3월부터 국책·민간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관련 통계를 바탕으로 작성했다.
인력수요 전망에 따르면 정보·통신 전문가, 공학 전문가, 과학기술 전문가,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직과 의료보조직, 교육전문가, 문화·예술·스포츠 등 고용증가 직업군은 2030년까지 92만 명의 일자리가 늘어난다.
반면 매장 판매직, 운전·운송관련직, 청소경비를 비롯한 고용감소 직군에서는 80만 명 가량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사업을 비롯해 보건·복지서비스업, 문화·예술·스포츠 산업 등 고용증가 산업에서 46만 명 가량 취업자 수가 증가한다.
하지만 기술혁신에 따른 일자리 대체가 일어나는 자동차 외에 도·소매, 숙박·음식업, 운수, 공공행정 등 고용감소 산업은 일자리가 34만 명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이 같은 전망은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경제·산업 구조를 개편했을 경우를 전제로 나왔다.
경제성장률은 정부 주도의 적극적 대응 여부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났다.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았을 경우 연평균 2.5%(2017∼2030년), 적극적 대응을 위해 경제·산업 구조를 개편했을 때는 연평균 2.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산업별 성장률을 보면 제조업의 경우 적극적 대응 여부에 따라 2027∼2030년 성장률이 각각 1.8%와 2.4%로 0.6% 포인트 차이가 났다.
이 가운데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자통신과 전기장비를 비롯해 화학, 의약품 제조업의 성장률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에 2.3%와 3.1%로 0.8%포인트 격차가 났다. 출판·영상·정보통신 서비스의 성장률이 큰 폭으로 호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부는 이 같은 전망을 토대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규제개혁, 중소기업 연구개발 역량 강화, 벤처기업 지원 확대를 제안했다.
아울러 인력수요 증가에 대비한 전문인력 양성, 사회안전망 확대 외에도 일자리 대체 등 제반 문제를 논의·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 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ums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