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개구리 배아 활용한 호흡기 질환 치료기술 첫 개발
생물자원관-울산과학기술원 박태주 교수진 공동 연구
(세종=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무당개구리 배아를 이용해 호흡기 질환의 치료물질을 연구하는 기법이 새로 개발됐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울산과학기술원 박태주 교수진과 함께 최근 '자생 양서류를 이용한 기능성 유효물질 탐지기법'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연구기법은 실험실 내에서 인공 산란한 무당개구리의 배아를 이용한 게 특징이다. 지금까지는 인간의 구강세포나 설치류 등의 포유동물을 활용해 실험해왔다.
하지만 인간 구강세포는 배양에 한계가 있고 포유동물 실험은 생체를 이용할 수밖에 없어 생명윤리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양서류 배아 표피 점막이 인간의 기관지 점막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해 자생 양서류 배아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무당개구리·참개구리·북방산개구리·계곡산개구리·한국산개구리 등 총 5종의 자생 양서류를 대상으로 배아의 뮤신(Mucin) 분비 실험 적합성을 분석했다.
뮤신은 폐·침샘 등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끈적하게 늘어나는 점액 물질로, 기침이나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을 겪을 때 나오는 가래의 주성분이다.
그 결과, 무당개구리 배아가 다른 자생 양서류보다 배아의 뮤신 측정이 쉬운 피부 상피조직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실제로 무당개구리 배아에서 호흡기 질환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진 나라신(Narasin)·비쿠쿨린(Bicuculline) 등 뮤신 분비 조절제 4종을 처리한 결과, 뮤신 분비가 10∼16% 감소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기법을 앞서 2월 26일 특허출원했으며 관련 분야 해외 학술지인 '몰레큘러 뉴트리션 앤드 푸드 리서치'(Molecular Nutrition & Food Research)에 3월 말 투고할 예정이다.
최종원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이번에 개발한 연구기법을 표준시험법으로 확립해 관련 학계와 기업에서 신약개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