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조셉 윤 퇴임, 트럼프 정부 내 대북정책 분열 암시"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조셉 윤 퇴임, 트럼프 정부 내 대북정책 분열 암시"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조셉 윤 퇴임, 트럼프 정부 내 대북정책 분열 암시"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미국 측 북핵 6자회담 수석 대표인 조셉 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갑작스러운 퇴임은 대북외교의 가치를 둘러싼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분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미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완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트럼프 정부 안에서는 대북 협상의 효용과 가능한 성과 등을 두고 이견이 표출돼왔다는 점을 지적했다.


윤 대표 등 국무부 인사들은 '대화를 위한 대화'로 대변되는 예비대화를 원하지만, 백악관 관계자들은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할 준비가 돼 있다는 의미 있는 신호를 원한다는 것이다. 백악관은 또 북한이 한국과 미국 사이를 이간질하려 한다고 의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적절한 조건에서만 북한과의 대화를 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평창동계올림픽 참석을 계기로 북한 대표단과 회담을 할 예정이었지만, 북한 측의 취소로 막판에 무산되기도 했다.
트럼프 정부는 대북 대화에 대한 장기적인 접근법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지는 않고 있다.
조엘 위트 미 존스홉킨스대 한미연구소 선임연구원은 WSJ에 "트럼프 정부가 외교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한다면, 그 일의 적임자와 전략을 필요로 한다"며 "아직 어느 쪽도 분명치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트럼프 정부 내 누구도 윤 대표만큼의 경험을 갖고 있지 않다"며 윤 대표의 부재 상황을 우려했다.
윤 대표뿐만 아니라 자의든 타의든 국무부 내 고위 전문가들의 탈출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미 정부 전·현직 관계자들은 얼마간 경륜 있는 외교관들의 퇴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들로서는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했지만 트럼프 정부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미 국무부의 시리아 특사였던 마이클 래트니는 딕 체니 전 부통령의 국가안보 보좌관 출신의 존 해나를 배치하려는 정무적 임명에 밀려 쫓겨났다. 다만 해나는 시리아 특사직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이 자리는 끝내 공석으로 남아있다.
국무부 서열 3위인 톰 섀넌 정무차관도 최근 사의를 표했고, 중동정책에 관여해온 고위 외교관들도 국무부를 떠났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해 2월 렉스 틸러슨 국무부 장관 취임 즈음 몇몇 고위 외교관을 해임하기도 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