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심장질환 예후 MRI로 예측하는 지표 개발"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서울대병원은 순환기내과 이승표·이희선(강남센터) 교수팀이 심장질환의 일종인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예후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예측하는 지표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 문 역할을 하는 대동맥판막이 좁아져 심장이 피를 잘 내보내지 못하는 질환이다. 좁은 판막 틈으로 피를 내보내기 위해 심장은 더 강하게 수축하고 시간이 흐를수록 심장근육은 섬유화로 비대해진다. 이로 인해 호흡곤란, 흉통,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급사의 위험도 있다.
연구팀은 2011~2015년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127명의 심장 MRI 정보에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T1값)을 색상으로 표현하는 'T1맵핑'을 적용하고, 이 중에서도 심장근육의 T1값을 지표로 개발해 2년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했다.
MRI는 자기장을 형성했을 때 인체에서 되돌아오는 자기파를 측정해 영상을 얻는 장비다.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은 섬유화, 염증, 경색 등으로 주변 조직 상태가 좋지 못하면 길어지고 반대면 짧아진다. 이 원리를 환자의 심장 MRI 정보에 적용한 뒤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연구진이 지표로 개발한 '심근T1값'이 높을수록 환자의 예후가 나쁜 것으로 확인됐다.
심근T1값이 높다는 건 심장근육에서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이 길다는 뜻으로, 심근 섬유화가 가장 심하다는 의미다.
심근T1값이 가장 높은 군은 42.9%가 사망과 심부전 악화로 입원을 경험한 반면 가장 낮은 군은 이러한 비율이 2.4%에 그쳤다.
또 심근T1값을 통해 수술 후 결과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환자 127명 중 대동맥판막 치환수술을 받은 환자 87명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다.
수술 전 심근T1값이 높은 환자는 수술 후 사망 또는 심부전 악화로 인한 입원이 4건 발생했다. 반면 값이 가장 낮거나 중간인 환자는 1건도 이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승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게 해 환자의 치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심장학회(JACC)의 자매잡지(JACC Cardiovasc Imaging) 최근호에 발표됐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