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주도성장 '청신호'…가계 실질소득·분배 모두 개선됐다(종합2보)
실질소득 9분기만에 증가 전환…저소득층 근로소득 역대 최대 증가
분배지표도 8분기만에 개선…근로소득 증가폭은 다시 0%대로 떨어져
통계청, 작년 4분기 가계소득동향 발표
(세종=연합뉴스) 이세원 민경락 기자 = 가계의 실질소득과 소득분배지표가 2년여 만에 모두 개선되면서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에 힘이 실리게 됐다.
가계 명목소득 증가 폭이 확대되면서 실질소득이 9분기만에 증가세로 전환했고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소득이 크게 증가하면서 '악화일로'였던 분배지표도 8분기만에 개선됐다.
하지만 비중이 가장 큰 근로소득은 전분기의 절반 수준으로 둔화한 것으로 나타나 소득 기반이 본격적인 안정기에 들어섰다는 평가는 다소 이르다는 관측도 나온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계소득(명목·2인이상)은 444만5천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1% 늘었다.
이로써 2015년 3분기 이후 0% 증가율에 머물렀던 가구 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3분기 2년여 만에 2%대를 기록한 데 이어 3%대로 올라서게 됐다.
명목소득이 늘면서 실질소득도 1년 전보다 1.6% 증가했다.
실질소득은 2015년 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오다 9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소득유형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293만2천원으로 1년 전보다 0.9%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전분기 증가폭(1.6%)에 한참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2016년 4분기 0%대로 떨어진 근로소득 증가 폭은 3분기 연속 1%대를 밑돌다가 지난해 3분기 1%대로 올라섰지만 다시 0%대로 밀렸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가계 소득이 증가한 점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면서도 "다만 근로소득 증가는 조금 덜 한 것 같다"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사업소득은 8.5% 늘어난 94만3천원이었고 재산소득은 1만8천원으로 9.5% 증가했다.
생산활동을 하지 않아도 정부가 무상으로 보조하는 소득 등을 뜻하는 이전소득은 46만8천원으로 10.1% 늘어났다. 이는 2015년 3분기 11.5% 늘어난 이후 2년여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비경상소득은 11.7% 줄어든 8만4천원이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은 150만4천원으로 1년 전보다 10.2% 늘어났다. 이는 2010년 1분기(11.9%) 이후 약 8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특히 1분위 근로소득은 20.7%나 늘면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역대 최대의 증가 폭을 기록했다.
반면 상위 20%인 5분위 소득은 2.1% 늘어난 845만원으로 증가 폭이 전분기(4.7%)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중 근로소득은 1.8% 줄어들면서 2009년 3분기(-4.6%)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 전체 근로소득 증가 폭을 줄이는 역할을 했다.
소득 분배 상황은 8분기만에 개선됐다.
작년 4분기 전국 가구 기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4.61배로 2016년 4분기(4.63배)보다 0.02 하락했다.
처분가능소득은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 지출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5분위 배율은 5분위 계층(최상위 20%)의 평균소득을 1분위 계층(최하위 20%)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며 그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한 것으로 해석된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소득 5분위 배율은 2016년 1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 7분기 연속 증가(소득분배 악화)하다 작년 4분기에 비로소 감소(소득분배 개선)세로 전환했다.
2016년 1분기에는 5.02배로 1년 전(4.86배)보다 0.16 올랐고 2분기에는 0.32 오른 4.51배, 3분기에는 0.35 상승한 4.81배, 4분기에는 0.26 상승한 4.63배였다.
작년 1분기에는 5.35배(0.33 상승), 2분기는 4.73배(0.22 상승), 3분기는 5.18(0.37 상승)을 각각 기록했다.
세금·보험료·연금 등을 의미하는 비소비지출은 86만7천원으로 1년 전보다 12.5% 증가했다.
근로소득세와 사업소득세 등 정기적으로 내야 하는 세금을 의미하는 경상조세는 2.1% 증가했다.
반면 양도소득세와 부동산 취·등록세 등 일시적으로 내는 세금인 비경상조세는 66.0% 감소했다.
경조사 등을 의미하는 가구 간 이전지출은 46.7% 늘었다.
<YNAPHOTO path='C0A8CA3D000001505C84A14100023906_P2.jpeg' id='PCM20151012029700039' title='구룡마을에서 본 타워팰리스' caption='연합뉴스TV 캡처. 작성 이충원(미디어랩)'/>
통계청 관계자는 "비교 대상인 2016년 4분기 상황이 너무 좋지 않았기 때문에 기저 효과의 영향이 있고 작년에는 추석이 통상과 달리 4분기에 포함되면서 사업소득이나 이전소득 등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된 것과 관련해서는 "1분위 계층의 소득 상승 폭이 커진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