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한국 사업환경 어려워졌다"…54% "올해 한국서 사업 확대"
주한유럽상의, 108개 기업 대상 '주한 유럽기업 비즈니스 환경 조사'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국내에서 활동하는 유럽기업의 절반은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이 실현 가능성이 낮은 정책이라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는 30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주한 유럽기업 비즈니스 환경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세계 4대 컨설팅회사로 꼽히는 독일 컨설팅회사 롤런드 버거가 한국에서 활동 중인 유럽기업 가운데 고용규모 3만명 이상, 총 매출 280억 유로 이상인 108곳의 경영진을 대상으로 설문을 벌여 작성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0%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소득주도 성장을 통한 고용 촉진과 최저임금제 인상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긍정적"이라는 답은 27%에 불과했고, 23%는 "알 수 없다"고 답했다.
기업이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하는 청년의무 고용 할당제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48%는 정부 방침이 고용창출을 촉진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정책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답은 24%였고, 28%는 답변을 보류하거나 모르겠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대해서도 응답 기업의 58%가 실현 불가능한 조치로, 고용·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답했다.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답은 16%였고, 나머지 26%는 답하지 않았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30/AKR20180130064351003_01_i.jpg)
유럽기업들은 우리나라에서 기업 활동이 대체로 "더 어려워졌다"(61%)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답은 29%, "사업하기 좋아졌다"는 답은 10%에 불과했다.
그런데도 절반 이상(54%)은 "올해 한국에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별로는 소비재·소매 기업의 64%, 물류 기업의 62%, 자동차 기업의 59%가 사업확대 계획이 있다고 각각 답했다. 에너지·화학, 금융서비스, 서비스, 제약·의료 등 기업의 절반도 사업확대 의지를 보였으나 기계·장비 기업은 27%만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업확대 방법으로는 '유기적인 성장'(67%)이 가장 많았고, 국내 기업과의 파트너십(19%), 인수합병(M&A)(12%), 다른 다국적기업과의 파트너십(2%) 등이 뒤를 이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30/AKR20180130064351003_02_i.jpg)
향후 2년간 채용계획에 대해 전체의 57%는 추가로 정규직 고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36%는 채용계획이 없다고 했고, 7%는 오히려 인원 감축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수익 전망은 산업 분야별로 엇갈렸다.
금융서비스 부문 기업의 67%, 서비스 기업의 60%가 앞으로 2년간 수익을 낙관적으로 전망했고, 기계·장치 기업의 55%, 에너지·화학 기업의 42%는 비관적이라고 답해 낙관적이라는 전망을 뛰어넘었다.
유럽기업들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인건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절반(50%)이 향후 2년간 우리나라에서 인건비로 인한 우려가 크다고 답했고, 산업별로는 물류(62%), 서비스(60%), 에너지·화학(58%) 기업의 우려가 두드러졌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30/AKR20180130064351003_03_i.jpg)
보고서는 "한국은 앞으로도 유럽 업계의 중요한 시장으로 남겠지만, 일부 개선이 불가피하다"며 인건비 증가, 불명확한 규칙과 규정, 시장 진입 장벽, 자유재량에 따른 법령 시행 등을 개선 과제로 꼽았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