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1.24

  • 20.61
  • 0.83%
코스닥

677.01

  • 3.66
  • 0.54%
1/3

풍납토성·몽촌토성…서울 유적 발굴史를 '한눈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풍납토성·몽촌토성…서울 유적 발굴史를 '한눈에'
서울역사편찬원, '서울의 발굴현장' 발간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서울역사편찬원은 1961년부터 2015년까지 55년간의 서울 지역 유적 발굴 이야기를 망라한 '서울의 발굴현장'을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책은 1961년 강동구 명일동 청동기시대 집터 발굴을 시작으로 10년 단위로 서울의 유적 발굴사를 되짚었다.
서울역사편찬원은 "서울 발굴의 역사는 '대도시 서울'의 형성·발달 과정과 궤를 같이한다"며 "1970년대 서울 지역 확대를 위한 강남 개발 과정에서 백제 고분을 발굴했고, 1980년대 서울올림픽을 대비해 몽촌토성과 조선 궁궐을 발굴·복원했다. 1990년대에는 시민의 문화의식 향상으로 풍납토성을 발굴했다"고 소개했다.
책은 ▲ 순수 발굴의 시대(1960년대) ▲ 도시화의 시작과 함께(1970년대) ▲ 복원을 위한 발굴시대(1980년대) ▲ 구제발굴의 전성시대(1990년대) ▲ 발굴을 위한 발굴(2000년대)로 이뤄졌다.
1960년대는 서울의 도시화가 진행되지 않아 '순수 학술발굴'의 성격이 강했다. 1970년대 강남 개발이 시작되면서 개발 사업을 위한 발굴이 시작됐다.
1980년대는 서울올림픽 준비·개최와 맞물려 강남에서 강북으로 발굴 지역이 확대됐다. 강북에서는 조선 시대 궁궐 복원을 위한 발굴이, 강남에서는 체육시설 조성 과정에서 몽촌토성 복원 발굴이 각각 이뤄졌다.




1990년대는 풍납토성 발굴이 대표적이며, 2000년 5월에는 발굴현장을 굴삭기로 파헤치는 사건이 일어나 세간의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2000년대에는 '사대문 안'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뤄져 시전행랑터, 건물터, 집터, 우물 등 생활유적이 많이 발견됐다.
책은 시대별 발굴 내용을 소개하는 사진 320여 장을 수록해 이해를 도왔다.
책은 서울시청 신청사 지하 1층 서울책방에서 살 수 있다. 서울역사편찬원 홈페이지(http//history.seoul.go.kr)에서 전자책으로도 읽을 수 있다.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