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어서 못 판다'…아이폰X 출시 첫날부터 물량 부족(종합)
KT 1호 개통 고객 6박7일 줄서기까지…요금할인 100% 육박
수능 끝난 수험생 몰려…주말 이후 흥행 여부 알 수 있을 듯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아이폰X이 24일 국내 출시됐다. 추운 날씨에도 전날부터 줄을 서 기다리는 소비자들이 등장해 출시 당일에도 차분한 분위기를 보였던 아이폰8과는 분명한 온도 차가 났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 출시된 아이폰X의 초기 개통량은 이달 3일 출시된 아이폰8과 비슷한 수준이다. 아이폰8의 초기 개통량은 전작인 아이폰7의 60∼70%였다.
가격이 155만원(256GB) 수준으로 아이폰8 대비 고가의 제품이면서 초도물량이 15만대 수준으로 부족한 것을 감안하면 확실히 반응이 좋은 상황이라고 이통사 관계자는 전했다.
오프라인 대리점에도 사전 예약자들을 포함해 아이폰X을 구매하려는 고객들이 몰리고 있다.
이날 오후 광화문 KT스퀘어에는 평일임에도 평소보다 많은 방문객들이 아이폰X을 구매하거나 체험해보기 위해 발걸음했다. 적은 물량 탓에 예약하지 않은 고객들이 매장 재고 상황에 따라 당장 구매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KT스퀘어 직원은 "사전예약자를 제외한 개통 문의 고객만 30명이 넘었다"며 "사전예약자 우선으로 물량을 드리고 있어 상당수 고객들이 빈 손으로 돌아갔다"고 말했다.
개통 모델 가운데는 256GB 스페이스 그레이 모델이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원금 대신 요금할인을 택하는 고객은 100%에 육박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이폰X의 공시 지원금은 3만4천∼12만2천원대로, 25% 요금할인액이 지원금보다 5배 많다.
이통사 관계자는 "고가 제품 특성상 30대 고객의 구매가 많고 수능 수험생 고객도 늘어나는 추세"라며 "주말부터 다음주까지 수험생 구매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날 오전 0시 아이폰X의 판매를 시작한 애플 전문 유통매장 프리스비 강남스퀘어점에는 한밤중 눈이 오는 궂은 날씨에도 오픈 시점까지 200명이 넘는 인파가 장사진을 이뤘다.
프리스비 관계자는 "1호 고객은 수능을 끝내고 바로 달려온 수험생이었고 수험생 자녀와 부모들이 함께 오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며 "오전 2시가 넘어서도 고객이 계속 찾아올 만큼 반응이 뜨거웠다"고 전했다.
오전 8시 개장한 명동 프리스비 매장 앞에도 전날 오전 5시부터 1호 대기자가 등장해 오픈 전까지 30명이 줄을 섰다.
이통 3사도 이날 오전 8시 일제히 출시 행사를 열었다. KT 개통 1호 주인공은 이달 18일부터 '6박 7일'동안 기다려 국내 출시행사 사상 줄서기 최장 기록을 세운 손현기(26)씨였다.
KT는 1호 개통고객에게 데이터선택 76.8 요금제를 2년 무상 지원하고 애플워치3, 기가지니 LTE, 벨킨 액세서리 세트 등을 제공했다. 2∼3호 고객에게는 애플워치3와 벨킨 정품 무선 충전 패드, 초청고객 100명 전원에게는 기본 액세서리 세트가 제공됐다.
SK텔레콤[017670]과 LG유플러스[032640]는 줄서기 없이 추첨 고객을 대상으로 행사를 열었다.
SK텔레콤은 중구 센터원에서 '미리 만나는 크리스마스' 콘셉트로 개통 행사를 열어 초청된 80명의 고객에게 애플 에어팟, 목도리 등을 선물하고 추첨을 통해 아이맥, 아이패드, 애플워치 등 선물을 전달했다.
LG유플러스는 광화문 동아일보 사옥에서 사전예약 고객 10명을 초청해 애플워치, 아이폰 라이트닝 독을 선물했다.
이날 국내 고객에게 첫선을 보인 아이폰X은 아이폰 시리즈 최초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화면과 3차원 스캔을 활용한 안면인식 기능인 페이스ID를 탑재했다.
이통사 출고가는 64GB 모델이 136만700원, 256GB는 155만7천600원이다. 스마트폰 사상 '역대급' 비싼 가격에도 이통사 온라인 예약이 잇따라 매진되며 사전 예약에서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색상은 스페이스 그레이, 실버 총 2종이다.
이통 3사는 제휴 할인 카드를 이용할 경우 월 최대 2만∼3만원을 할인하고 분실, 파손 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중고폰 보상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아이폰X 구매자가 일정 기간 사용하던 기기를 반납하고 최신 아이폰으로 기기변경을 하면 남은 할부금을 할인해주는 방식이다. 이통사별로 월 1천100∼3천190원의 이용료를 내야 한다.
이통사 관계자는 "비싼 가격탓에 마니아층을 제외한 수요가 적을 수 있다"며 "주말이 지나야 흥행 여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srch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