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과 투기 연관성 낮아…성수 등 일부는 자체 요인으로 상승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재건축을 대신해 낙후된 지역을 되살리는 '도시재생'은 부동산 가격 상승 혹은 부동산 투기와 별다른 연관성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서울시가 도시재생활성화사업지역으로 지정된 13곳 중 9곳을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의 부동산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이들 지역의 주택매매가격 연평균 증가율은 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 7%, 아파트 8%로 각각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 8%와 대동소이한 것으로, 도시재생사업과 부동산 투기 사이의 연관성이 약하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시가 이번에 분석한 대상 지역은 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 등 9개 지역이다. 창동상계, 장안평, 세운상가 등 주택 거래 건수가 부족한 4개 지역은 빠졌다.
아파트만 놓고 보면 조사 대상 기간 중 도시재생활성화지역과 서울시 전체 매매가격 연평균 증가율은 모두 8%였다. 그러나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이른바 '강남 4구'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는 이 기간 연평균 증가율이 12.4%에 달했다.
시는 이를 두고 "시민들이 강남권 아파트를 여전히 선호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도시재생활성화사업보다는 재건축이 주택 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22/AKR20171122033700004_02_i.jpg)
개별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의 주택 가격 증가율과 소속 자치구 전체의 가격 증가율을 비교했더니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수, 창신숭인, 가리봉 등 일부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은 지역 자체 상승 요인으로 연평균 매매가격 증가율과 ㎡당 가격이 자치구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창신숭인·가리봉·장위 지역은 지역 정비 사업이 해제되면서 신축 수요가 집중됐고, 성수 지역은 분당선 연장과 주변 고가 아파트 건설에 따른 영향이라고 시는 짚었다.
또 신촌 지역은 ㎡당 거래 가격이 높은 신축 도시형생활주택의 거래가 본격화돼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했을 뿐 도시재생과는 무관하다고 시는 분석했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고, 오히려 현재까지도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가 여전하다"며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아파트 가격을 안정화하려면 저층 주거지 환경 개선을 통해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tsl@yna.co.kr
(끝)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22/AKR20171122033700004_01_i.jpg)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