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3.06

  • 17.30
  • 0.69%
코스닥

692.00

  • 1.15
  • 0.17%
1/3

"언론, 뉴스 유통 제어권 상실…공정·투명 알고리즘 필요"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언론, 뉴스 유통 제어권 상실…공정·투명 알고리즘 필요"

언론진흥재단 저널리즘 콘퍼런스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구글과 페이스북, 네이버와 카카오 등으로 상징되는 '플랫폼의 시대'를 맞아 전통적 저널리즘이 위기에 내몰렸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는 상황에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업계와 학계의 제언이 쏟아졌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3일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저널리즘 콘퍼런스에서 윤영철 연세대 교수는 "한국 저널리즘은 신뢰의 위기라는 악순환에 갇혀 있다"며 "전통적 미디어의 광고 수입이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콘텐츠 질이 낮아지고 신뢰가 저하돼 열독률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언론사가 뉴스 유통 채널에 대한 제어권을 상실했다"며 "독자 주목도와 관심도 등을 토대로 결정하는 알고리즘 아래에서는 양질의 기사가 살아남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투명성과 공공성을 갖춘 뉴스 편집 알고리즘을 개발해 각종 플랫폼에서 사용하게 하는 방법으로 저널리즘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에이미 벨 컬럼비아대 교수는 "대형 플랫폼이 언론을 흔들고 양질의 저널리즘을 저해하고 있다"며 구글·페이스북 등 거대 인터넷 기업에 대한 언론의 의존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벨 교수는 이어 워싱턴포스트나 뉴욕타임스 등을 예로 들며 "독립된 저널리즘에 대한 강한 믿음과 기술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통해 성과를 이뤄냈다"며 성공 사례로 소개했다.

카카오 이선영 포털부문 총괄 부사장은 "언론사가 소속 기자 중 10%만 '스타'로 만들더라도 수익이 발생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스타 저널리스트와 유료 콘텐츠 모델이 도입됐을 때 해당 매체의 브랜드 가치가 굉장히 달라질 것"이라고 수익 모델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아이린 제이리우 구글 아시아-태평양 뉴스랩 팀장은 "뉴스를 게임화(化)해서 게임을 플레이하듯 뉴스를 읽고 소비하도록 하는 것을 구상 중"이라고 전했다.

김경호 한국신문협회 기조협의회장은 "포털에서 뉴스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언론사에 지급되는 정보 제공료는 공개하기 어려울 정도로 낮다"며 구독료 현실화를 주문했다.




ljungber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